<서울신문> 2010-08-21 1면
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code=seoul&id=20100821001011&keyword=유럽의%20지성에%20듣는다
▲ 올리비에 푸리올 |
2005년 프랑스 철학계에는 ‘이단아’로 불리는 젊은이가 혜성처럼 등장했다. 파리 고등사범학교를 졸업한 당시 32세의 고등학교 교사 올리비에 푸리올은 철학 강의 장소로 ‘학교’가 아닌 ‘영화관’을 선택했다. ‘대중과 소통하는 철학을 하겠다’는 목표 때문이었다.
●영화 매개 철학강의로 스타덤
영화를 주제로 고전철학을 얘기하는 ‘스튜디오 필로’라는 이름의 강좌에 열광한 사람은 10~20대 젊은이들이었다. 특히 그의 영화관에는 한국의 수학능력시험과 같은 바칼로레아를 앞둔 프랑스 고3학생들이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르 파리지앵’ ‘라 크루아’ 등 프랑스 언론들은 그의 강의에 대해 ‘나 자신에 대한 확신을 되찾는 계기’라고 극찬했다. 파리, 니스, 영국 런던, 헝가리 부다페스트 등에서 강의를 펼치며 ‘새로운 철학 읽기’를 전파하고 있는 푸리올을 19일(현지시간) 파리에서 만났다.
“한국에서 한국 영화로 철학을 강의하는 날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강의를 위해 끊임없이 세계 각국의 영화를 본다는 푸리올은 임권택, 김기덕, 박찬욱 등 한국 감독들의 이름과 그들의 영화에 대해서 정확히 알고 있었다.
그는 “한국 영화는 독특한 철학과 매력을 담고 있어 철학을 얘기하기에 좋은 작품들”이라고 평가하며 “삶과 쾌락에 대한 강의를 진행하면서 임권택 감독의 취화선을 연구한 적도 있다.”고 소개했다.
푸리올은 “영화와 철학을 연결지은 이유는 철학을 얘기하기 위한 매개체의 역할이 필요했기 때문”이라고 했다. “할리우드 영화처럼 모든 이들이 당연하게 받아들이고 이해하는 것에서 철학을 찾고 싶었다.”는 것이다.
●영국 등 해외서도 강좌 인기
▲ 푸리올은 영화 속에서 철학, 삶의 길을 얘기한다. 사진 위부터 영화 ‘아메리칸 뷰티’, ‘블레이드 러너’, ‘엑스맨’.
유독 고3 학생들이 강의를 많이 찾는 이유에 대해서는 “시험 없이 지식만을 습득해 프랑스의 젊은이들이 철학에 관심을 갖게 됐다는 점에서 보람을 느끼고 있다.”고 덧붙였다.
푸리올은 철학을 ‘하나의 전공이 아닌, 살아가기 위한 도구’라고 표현했다. 생각하는 법, 세상을 살아가는 법을 알려줄 수 있는 유일한 학문이 철학이며, 이 때문에 철학이 현대사회에도 존재의미를 갖는다는 것이 그의 주장이다.
“자신이 놓인 상황에 대한 현명한 판단, 행동에 대한 근거 등을 모두 철학적 사고에서 찾을 수 있다.”고 푸리올은 말한다. 데카르트를 인용, “특히 철학은 행동하는 것이 바람직할 때는 생각보다 먼저 행동하라고 가르칠 정도로 현실적”이라는 게 그의 지론이다. 실제로 푸리올은 자신의 강의와 책에서 각 장의 제목을 ‘~사용법’으로 붙이며 철학의 실용적인 면을 강조한다.
프랑스에서는 철학 관련 잡지가 여전히 매달 수만권 이상 팔려나갈 정도로 큰 관심을 얻고 있다.
●“韓영화로 한국서 강의 기대”
그는 이에 대해 “철학 전공자의 졸업후 진로를 철학 쪽에서 찾기 힘든 것은 프랑스도 마찬가지”라며 “그러나 고3 의무과목에 철학이 포함된 것에서 알 수 있듯이 철학이라는 과목을 누구나 배워야 하고, 배울 수 있다고 생각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프랑스의 강점”이라고 평가했다.
또 “한국에서도 시험 없이 철학을 배우고 지식을 얻을 수 있다는 사실을 학생들에게 알려주려는 시도가 필요한 것 같다.”면서 “교실 대신 영화관으로 강의장소를 바꾸는 것만으로도 학생들에게 ‘놀러간다’는 이미지를 심어주고 즐거운 수업이 되게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조언했다.
파리 박건형 순회특파원
kitsch@seoul.co.kr
'마리선녀 이야기 > 마리선녀 철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이클 하트 <네그리 사상의 진화> /한겨레 (0) | 2010.10.21 |
---|---|
안토니오 네그리가 본 사회변화 /서울신문 (0) | 2010.10.21 |
메를로-뽕띠의 철학과 보조지눌의 간화선 /박진영 (0) | 2010.10.14 |
데리다의 철학사상과 불교 /김형효 (0) | 2010.10.14 |
하이데거, 무 그리고 불교 /박진영 (0) | 2010.1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