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종교사상 이야기/함석헌118

함석헌이 생각한 자연과 자유(양명수) <씨알의 소리> 2004.7-8 《연구논문》 함석헌이 생각한 자연과 자유 양 명 수 함석헌 선생이 사용한 중요한 개념들은 반대 측면을 같이 생각해야 한다. ‘생각’이라는 개념은, ‘생각하는 백성이라야 산다’는 명제를 떠올리겠지만, 생각을 죄라고 말하는 구절도 같이 염두에 두어야 한다. 함석헌 .. 2010. 4. 9.
함석헌: 국가주의를 극복해나가는 길(박노자) 씨알사상연구회 월례발표회 2007년6월 함석헌: 국가주의를 극복해나가는 길 박노자 (Vladimir Tikhonov) /오슬로대 (University of Oslo), 노르웨이 1. 한국적 근대의 최대의 미(未)해결 과제라면 아마도 주체적이면서도 타자를 포용할 수 있는 사회적 개인의 만들기일 것이다. 1920년대초반부터 “개인”이나 “인.. 2010. 4. 9.
한국의 역사가 함석헌(노명식) <씨의 소리>통권 제162호 2001년 9,10월호 <한국사 시민강좌> 제26집 2000년 《연구논문》 한국의 역사가 : 함석헌 -노 명 식- 1. 함석헌이 과연 역사가인가 함석헌(咸錫憲)은 20권에 달하는 전집을 남기었는데, 그 전집 편집위원들의 간행사에 이런 말이 있다. ?이 시대에 살아서 글줄이나 읽는 .. 2010. 4. 9.
심정과 자유의 철학-함석헌(이규성, 시대와철학2006) 심정과 자유의 철학 -함석헌-(이규성).pdf 심정과 자유의 철학 -함석헌- <시대와 철학> 2006 제17권1호에 게재된 글입니다. 2010. 1.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