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에서 퍼왔습니다
http://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SBN=0826489540
지적 해방이란 무엇인가: <무지한 스승> 서평 | 13 |
람혼 | 2009-03-02 15:22 | |
▷ 『문학동네』 58호, 2009년 봄. 1) 『문학동네』 2009년 봄호에 기고한 서평을 옮겨놓는다. 자크 랑시에르(Jacques Ranci?re)의 『무지한 스승(Le ma?tre ignorant)』 국역본 출간에 부친 글이다. 지난해 12월 랑시에르 방한 강연 시기에 발맞춰 간행된 이 책은 현재까지 나온 몇 종의 랑시에르 국역본 중 최선의 번역을 보여주고 있다는 게 개인적인 생각이다. 짧은 기간 매우 신속하게 이루어졌던 랑시에르의 수용사(受容史)를 되짚어 보자면, 그 짧은 '역사'에는 번역에 있어서 과거 1990년대 초중반 미셸 푸코(Michel Foucault)의 수용과 전유를 떠올리게 하는 측면이 있다. 물론 '번역-인프라' 혹은 '독자-인프라'라는 측면에서 그때와 지금을 단순 비교하기는 어렵지만, 1990년대 당시 우리가 오역되고 오도된 푸코를 얼마나 많이 그리고 얼마나 자주 읽었는가를 생각해보면, 작금의 랑시에르 수용 현황은 그보다 크게 나아진 점이 없다는 게 또한 내 개인적인 생각이다. 이에 '이론의 수입'이라는 '식민지적 풍경'을 둘러싼 어떤 환경(milieu)을 생각해볼 때, 번역의 수준이나 독자의 수용 환경에서 그때보다 지금이 더 나아졌는가 하는 물음에는 개인적으로 그다지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대답을 할 수가 없다. 무엇이 문제인가? 물론 현재는 당시보다 '관련 전공자'도 더 많아졌고 수입된 이론의 요체를 '체득한' 이들도 훨씬 많아졌다. 하지만 현재에도 과거 못지않게 부주의한 번역들, 잘못 옮겨진 번역들이 여전히 '횡행'하고 있는 현실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고쳐나가야 할까? 이는 흔히 말해서ㅡ하지만 이는 또한 흔하다고 해서 진부하게 여겨서는 안 될, 아무리 강조해도 모자랄 문제일 텐데ㅡ어떤 '시스템'의 문제이다.
▷ Jacques Ranci?re, Le ma?tre ignorant, Paris: 10/18, 2004(1987¹).
최정우 (작곡가/번역가) 영화 <13번째 전사(The 13th Warrior)>(1999)에서 우리는 '번역'이라는 개념 혹은 '학습'이라는 경험에 대해 반추해볼 수 있는 흥미로운 장면을 하나 목격하게 된다. 북구인들의 언어를 전혀 알아듣지 못하던 한 아랍인(안토니오 반데라스)이 단지 이들의 대화를 끈질기고 주의 깊게 듣는 과정만을 통해서 그 전혀 이해할 수 없던 웅얼거림을 점차 분절된 언어로 파악하게 되는 '기적'과도 같은 장면이 바로 그것이다(반데라스에게 단지 웅얼거림으로만 들리던 그 말들은 이제 그도 관객도 알아들을 수 있는 하나의 언어, 곧 영어로 바뀌어간다). 『무지한 스승(Le Ma?tre ignorant)』에서 자크 랑시에르(Jacques Ranci?re)는 이런 '영화'와도 같은 사례가 1818년 루뱅 대학에서 실제로 일어났으며, 심지어 그러한 '학습'의 방식을 "보편적 가르침(enseignement universel)"이라는 이름으로 부를 수 있다고 우리에게 알려준다. 그것은 어떤 특별한 '기적'이나 급작스런 '개안(開眼)'도 아니고 '천재적인 어학실력' 같은 것은 더 더욱 아니며, 오히려 우리가 무언가를 배울 때 보편적으로 일어나고 겪게 되는 어떤 과정에 대한 한 탁월한 사례라는 것이다. 지능은 모두에게 평등한 것이며 그 자체로 위계를 갖지 않는다. 『무지한 스승』에서 랑시에르는 하나의 고유명을 중심축으로 삼아 이러한 평등의 원리를 시험대 위로, 교단 위로 올려놓는다. 그 고유명은 바로 조제프 자코토(Joseph Jacotot)이다.
▷ 안토니오 반데라스(Antonio Banderas) 주연, 영화 <13번째 전사>의 포스터.
왜 자코토라는 이름이 문제가 되는가? 망명한 혁명가이자 교육자였던 자코토는 루뱅 대학에서 하나의 '지적 모험'을 감행한다. 네덜란드어를 전혀 할 줄 몰랐던 프랑스인 선생 자코토는 반대로 프랑스어를 전혀 할 줄 모르는 네덜란드 학생들에게 프랑스어-네덜란드어 대역 교재 한 권을 건네주었고, '놀랍게도' 학생들은 단지 네덜란드어와 프랑스어의 비교와 그 반복을 통해 프랑스어 구문들을 거의 완벽하게 소화해냈던 것이다. 자코토의 이 '우연한 경험', 그리고 이를 통해 그가 정식화하게 된 '보편적 가르침'의 내용은, 교사와 학생 사이 혹은 개개의 학생들 사이에 지능의 차이가 존재함을 당연한 사실처럼 받아들이던 당시 유럽의 교육계에는 하나의 '추문'에 가까웠다(그리고 이는 현재에도 쉽게 '잊혀지는' 진실이며 또한 여전히 추문이기도 하다). 지적 해방의 교사는 모든 것을 알고 있는 '설명자'가 아니라 단지 '무지한 스승'이라는 이 역설과도 같은 주장을 사람들은 쉽게 받아들일 수 없었던 것이다. 랑시에르는 설명자에 의한 교육을 '바보 만들기(abrutissement)'라는 말로, 무지한 스승에 의한 교육을 '해방(?mancipation)'이라는 말로 명명하면서 평등의 원리에 기초한 교육과 공동체에 대해 다시 생각할 것을 요구한다.
▷ Jacques Ranci?re, La nuit des prol?taires, Paris: Hachette, 2008(Fayard, 1981¹). *) 『프롤레타리아의 밤』은 아마도 랑시에르의 책들 중 가장 먼저 소개되어야 할 책이 아닌가 개인적으로 생각하고 있다. '감각적인 것의 나눔'이라는 개념은 물론 '정치와 미학의 관계'라는 랑시에르의 중심적 주제에 있어 이 책은 하나의 이정표, 하나의 전환점을 내포하고 있는 일종의 '원점'이기 때문이다. 이 책은 '노동자의 목소리'를 찾는다고 하는 어떤 순진하고 적극적인 정체성 탐색의 작업이 내포하고 있는 또 다른 '아포리아'를 가장 생산적이고 효과적인 방식으로ㅡ그리고 그 이론적 진행 안에서 가장 '수행적으로'ㅡ전복함으로써, '노동자의 목소리'를 찾는다는 행위 자체를 보다 '징후적'이고 '정치적'인 시각에서 사유할 것을 요구한다. 가장 '미학적'인 것 안에, 곧 감각적인 것의 나눔에 대한 의문과 재사유 안에, 가장 '정치적'인 혁명과 해방의 요소가 있다고 생각하는 랑시에르의 기본적 입장은 이미 이 책에서 정립되고 있는 것. "프롤레타리아라는 존재의 속박에서 벗어나기를 욕망하는 이러한 변절자들이 어떠한 우회를 통해서 역설적으로 노동자 정체성의 이미지와 담론을 형성하게 되었는가(par quels d?tours ces transfuges, d?sireux de s'arracher ? la contrainte de l'existence prol?taire, ont-ils paradoxalement forg? l'image et le discours de l'identit? ouvri?re)?"(La nuit des prol?taires, p.10)라는 물음은 『프롤레타리아의 밤』을 관통하는 가장 중심적인 문제의식에 다름 아니다. 지식인 문제와 관련하여 이상의 논의를 확장/심화시키고 있는 『철학자와 그 빈자들』 역시 일독을 요하는 책(그러므로 또한 '노동자의 목소리'를 노동자에게 '온전하게' 되찾아주는 것으로 상정되고 설정된 어떤 '지식인의 임무'란, 그 자체로 이미 하나의 허구이며 기만이다).
▷ Alain Faure & Jacques Ranci?re(?ds.), La parole ouvri?re, Paris: La Fabrique, 2007(1976¹). ▷ Jacques Ranci?re, Le partage du sensible, Paris: La Fabrique, 2000. *) 랑시에르가 알랭 포르와 함께 편집한 『노동자의 말』은 『프롤레타리아의 밤』으로 가는 일종의 가교 역할로서도 중요한 책이지만, 그 자체로 랑시에르가 알튀세르(Althusser)와 '단절'한 이유와 향후 천착했던 작업의 요체를 드러낸다는 점에서도 또한 중요한 '자료집'이다(랑시에르가 편집한 루이-가브리엘 고니(Louis-Gabriel Gauny)의 책 『평민 철학자(Le philosophe pl?b?ien)』 또한 이러한 맥락에서 일독을 요하게 된다). 노동자들의 문서고를 뒤지는 랑시에르의 이미지는 여기서, 광기와 감금의 역사적 기록물들 속에 거주했던 푸코의 이미지와 겹쳐진다. 아마도 '푸코'라는 고유명과 함께, 그리고 다시금 '랑시에르'라는 고유명과 함께, 우리는 저 '역사'라는 작업에 대해 새삼 다시 생각해야 할 것이다. 다시 묻자면, 왜 자코토의 이름은ㅡ그것이 단순히 한 사람의 이름이라는 사실을 넘어ㅡ왜 하나의 '고유명'일 수밖에 없는가? "자코토는 진보의 기치 아래 평등이 지워지고 지도라는 미명 아래 해방이 지워지고 있음을 생각했던 유일한 이였다."(222/252, 번역 일부 수정) 이러한 의미에서 랑시에르는 자코토 이후 그 제자들이 행한 교육에서 어떤 '진보주의적 오염'의 요소를 발견하고 다시금 자코토를 참조할 것을, 그의 저 '우연한 경험'의 내용과 '무지한 스승'의 개념으로 돌아갈 것을, 그래서 다시금 지적 해방과 평등의 의미에 대해 근본적으로 재고할 것을 권유한다. 진보주의적 교육자들조차도 저 자코토의 평등의 원칙을 쉽사리 잊고 다시금 불평등의 전제에 기초해 평등을 쟁취해야 할 하나의 목적으로 삼는 오류에 빠지게 되기 때문이다. 이렇게 될 때 '보편적 가르침'은 해방보다는 지도(instruction)를 중시하는 저 '설명자'의 교육에 다시금 봉사하게 될 위험이 크다(소위 '진보주의적' 교육에 있어서도 상황이 이럴진대 하물며 '보수적인' 교육에 대해서는 더 말해 무엇하랴만, 다만 『무지한 스승』이 진보론자들의 교육론에 대한 보수적 교육론의 비판 근거로 쓰여서는 안 된다는 점을 굳이 덧붙여두는 것은 아마도 나의 노파심 때문일 터). 자코토가 행했던 교육적 모험은 오히려 지금 이 시대에 다시금 새롭게 사유하고 재전유해야 할 무엇이다. "자코토는 진보의 표상과 제도화를 평등의 지적이고 도덕적인 모험에 대한 포기로, 공교육을 해방에 대한 애도작업으로 지각했던 유일한 평등주의자였다."(222-223/252, 번역 일부 수정) 따라서 마치 제도화된 타성적 기독교를 넘어서 예수의 이름이 언제나 다시 참고하고 회귀해야 할 하나의 '원점'인 것과도 비슷하게, 랑시에르에게 자코토의 이름 또한 평등의 원리와 보편적 가르침, 그리고 그를 통해 도달할 수 있는 지적 해방의 문제에서 언제나 다시금 되돌아가고 재사유해야 할 하나의 출발점의 위치를 점한다. "자코토라는 이름, 그것은 진보라는 허구 아래 매장돼버린 이성적 존재들의 평등을 한탄하며 동시에 비웃는 이러한 앎이 지닌 고유명이었다."(223/253, 번역 일부 수정) 그러나 역사적으로 유달리 도드라져 보이는 자코토의 이 '특수한' 사례는 유일무이한 돌연변이와도 같은 어떤 '예외'가 아니다. 랑시에르에게 자코토의 이름이 하나의 '고유명'일 수 있는 이유는 그것이 평등의 원리를 확인하고 입증하는 하나의 '보편적' 사례를 증언하고 있는 이름이기 때문이다.
▷ '무지한 스승'의 고유명, 조제프 자코토(Joseph Jacotot). 그런데 자코토는 이 "보편적 가르침은 뿌리내리지 못할 것"이라고, 하지만 또한 그 "보편적 가르침은 사라지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본다.(231/261) 자코토가 했던 예언, 그리고 그 예언을 '자리바꿈'하면서 다시금 랑시에르가 반복하고 있는 이 예언을 오늘날 한국 교육의 몇몇 사례에 '성공적으로' 적용해볼 수 있다는 사실은 우리에게 축복일까 저주일까. 일제고사에 반발하며 학생들과 체험학습을 나갔던 교사에게 해임과 파면을 선고하고 '각자 자신의 능력에 따라서'라는 미명 아래 행해지는 우열반의 편성을 마치 개성과 민주주의에 대한 존중인 양 으스대며 국제중과 자사고의 설립이 소위 '교육선진화'의 지름길인 것처럼 선전하는 이 땅의 척박한 공교육 풍토는 그 자체가 지능의 평등이라는 전제와 보편적 가르침의 원칙을 뿌리내리지 못하게 하는 무거운 걸림돌이다. 또한 소위 '국가정체성'의 확립이라는 허울 좋은 미명하에 특정한 역사적 사실과 그에 대한 관점들을 '자학적'이고 '좌파적'인 것으로 규정하고 배척하고 말소하려는 정부의 태도는 그 스스로가 그렇게 비판하고 비난해 마지않는 일본 우익 교과서들의 행태와 어떻게 다른가? 정부는 '국민'이라는 '열등한' 학생을 대상으로 특정한 국가정체성과 민족의식을 가르치려 드는 '유식한' 스승과 '설명자'의 위치에 섬으로써 오히려 그 자신의 '무식함'만을 드러내고 있을 뿐이다(미네르바의 학력을 문제 삼아 그 '자질'을 비판하는 보수언론들 또한 이러한 '무식함'에서 그리 멀지 않다). 이러한 여러 상황들은 소위 보수는 물론이거니와 자칭 진보 역시나 자코토가 예언한 저 보편적 가르침의 '좌절'을 허투루 흘려들어서는 안 되는 절박한 이유가 된다. 하지만 동시에 그 예언의 다른 한쪽이 말하고 있는 것처럼, 또한 이러한 보편적 가르침은 결코 사라지지 않을 것이다. 무엇보다 랑시에르가 말하듯, "평등은 주어지거나 요구되는 것이 아니라, 실천되고 입증되는 것"(227/257)이며, 따라서 "평등은 도달해야 하는 목표가 아니라 하나의 출발점, 모든 정황 속에서 유지해야 할 하나의 가정"(228-229/258)이기 때문이다. 우리가 이 시점에서 '자코토'의 이름을, 그리고 '랑시에르'라는 고유명을 우리의 자리로 소환해 다시 사유해야 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 자크 랑시에르, 『 무지한 스승 』(양창렬 옮김), 궁리, 2008. 마지막으로 덧붙이고 싶은 말은 번역에 관한 것이다. 이상 몇 부분의 인용에서 번역을 일부 수정했으나, 『무지한 스승』의 국역본이 그간 오역의 문제로 말이 많았던 몇몇 랑시에르 국역본들과 비교했을 때 가독성이 매우 높다는 사실은 실로 다행스럽고 긍정적이다. 작년에 랑시에르의 한 국역본을 두고서 번역자가 오역을 비판한 이들을 명예훼손으로 고소한 사건도 있었던바, 여기서 내가 랑시에르 책의 '번역'에 대해 개인적으로 특별히 지적하고자 하는 이유는 오직 이 하나의 반문(反問)을 던져보기 위함이다. 만약 한국의 독자들에게 랑시에르 책의 프랑스어-한국어 대역본을 건네준다면? 그런데 그것이 오역으로 가득 차 있는 책이라면? 우리의 독자들은 과연 저 자코토의 학생들처럼 프랑스어를 제대로 배울 수 있을 것인가? 바꿔 묻자면, 그럴 때 번역자는 독자들에게 과연 '무지한 스승'이 되어줄 수 있을 것인가? 번역자들이 이 반문을 두고두고 곱씹어야 할 것은 물론이겠지만, 또한 '무지한 스승'이라는 개념을 그 스스로 '오용'하는 일이 있어서도 안 될 것이다. 마오쩌둥(毛澤東)의 용어를 차용해서 말하자면, 무지한 스승이란 결코 자신의 오역을 통해 학생들에게 교훈을 안겨주는 '반면교사(反面敎師)' 같은 것이 아니기에.
|
'마리선녀 이야기 > 마리선녀 철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서양철학사 개요 (0) | 2010.09.29 |
---|---|
[펌]데이비드 흄(David Hume)의 사상 정리 (0) | 2010.09.29 |
민주주의는 모든 정체의 아나키적 원리 /양창렬 (0) | 2010.08.16 |
자크 랑시에르, 「인민이냐 다중이냐?」/진보평론24호 (0) | 2010.08.16 |
슬라보예 지젝 <레닌 재장전> /프레시안 (0) | 2010.08.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