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겨레> 2010-09-03 오후 02:39:57
http://www.hani.co.kr/arti/politics/defense/438146.html
그레그 “통킹만 사건 연상…합조단 보고서 전부 공개해야” | |
<한겨레> 인터뷰서 “러시아의 천안함 조사 활동 한국이 방해” “당시 정황으로 볼 때 북한이 공격했다는 건 이해안돼” | |
권태호 기자 | |
지난 1일 <인터내셔널 헤럴드 트리뷴> 기고를 통해 러시아 정부가 이명박 정부와의 관계를 고려해 자체 조사결과를 발표하지 않았다고 밝혔던 도널드 그레그 전 주한미국대사(현 코리아소사이어티 회장·83)는 2일(현지시각) <한겨레>와 한 전화 인터뷰에서 천안함 사건이 베트남전 확전의 계기가 됐던 ‘제2의 통킹만 사건’이 될 것을 우려했다. 그레그 전 대사는 “한국 정부는 보고서 내용을 완전히 공개하지 않아 객관성이 입증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다음은 그레그 전 대사와의 일문일답.
-러시아 조사단이 (어뢰 공격이 아닌, 기뢰 폭발에 의한 것이라는) 결론을 내린 근거는?
“러시아 조사단의 결론은 잠정적인 것이다. 그들은 합조단의 조사 결과에 접근하지 못했고, 이를 바탕으로 한 가상실험도 못했다.”
-그렇다면 러시아 조사단의 결론은 불확실한 것 아닌가? 그럼에도 기뢰라는 판단은 어떻게 나왔나?
“(합조단 발표에 따르면) 천안함은 어뢰 발사로 인해 발생한 버블제트에 의해 단번에 두 동강 나 침몰했다. 북한 사정을 잘 아는 러시아는, 북한이 이런 수준의 고성능 무기 제작능력이 없고 보유하고 있지도 않다고 판단했다.”
-러시아 조사단은 조사 과정에서 한국 정부의 도움을 못 받았나?
“러시아는 원했던 자료에 접근할 수 없었고, 실험도 허용되지 않아 조사를 진행할 수 없었다. 중국 조사단이 한국에 안 간 것도 이 때문이다.”
-일부 한국 정부 관계자들은 중국이 천안함 조사를 않는 이유에 대해 비공식 자리에서 ‘진실을 아는 것을 원하지 않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
“이번주에 2명의 중국 고위급 관계자로부터 이런 이야기를 들었다. ‘러시아 쪽에서 한국에 가더라도 아무 정보를 얻을 수 없으니 조사팀을 서울에 보낼 필요도 없다는 충고를 들었다’고. 중국은 조언을 따랐다.”
-당신도 천안함 침몰 원인이 북한 공격이 아닌 사고라고 생각하나?
“모른다. 다만 당시 북한은 3차 남북정상회담을 제안했고, 북-미 대화를 추진중이었고, 김대중 전 대통령 부인 이희호씨의 평양 방문을 초청한 상태였다. 그 상황에서 천안함 침몰로 모든 상황을 스스로 뒤엎는다는 게 이해되지 않는다.”
-합조단 보고서를 신뢰하지 않나?
“한국 정부는 보고서 내용을 완전히 공개하지 않는다. 그래서 객관성이 입증되지 않았다. 내가 두려워하는 건 (한국 정부가) ‘합조단 보고서는 기밀이다. 우리는 이를 말할 수 없다’는 방식으로 자신을 방어하는 것이다. 그 경우, 진실은 우리를 교묘히 피한다. 베트남전 확전의 계기가 됐던 1964년 통킹만 사건을 연상시킨다. 한국 정부는 합조단 보고서의 모든 내용을 모두에게 공개해 천안함 침몰 원인을 누구나 정확히 알도록 해야 한다.”(통킹만 사건은 통킹만에서 작전수행중이던 미 구축함이 북베트남으로부터 어뢰 공격을 당했다는 주장으로, 미국의 본격적인 베트남전 개입 계기가 됐다. 이후 베트남전 개입을 위한 미국의 조작극이었음이 밝혀졌다.)
그레그 전 대사는 지난 73~75년 미국 중앙정보국(CIA) 한국지부 총책임자로 한국과 인연을 맺은 뒤 89~93년 주한 미 대사로 근무했다. 그레그 전 대사는 김대중 전 대통령의 73년 납치사건, 80년 신군부에 의한 사형선고 당시, 두번이나 미 정부를 통한 구명운동을 벌이는 등 김 전 대통령과 각별한 인연을 맺어왔다.
워싱턴/권태호 특파원 ho@hani.co.kr
[관련영상] “천안함 러시아 보고서, MB에 타격줄 수 있어”
‘지한파’ 도널드 그레그는 누구?
도널드 그레그 전 주한 미 대사는 미국 내의 대표적 지한파 인물이다. 1951년 미국 중앙정보국(CIA) 정보원으로 사회생활을 시작한 그레그 전 대사는 1973-1975년 CIA 한국지부 총책임자로 한국과 인연을 맺었다. 그는 이후 1989-1993년 주한 미 대사관 대사로 한국과 다시 인연을 맺기까지 미국 국가안보회의 위원(1979~1981)과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 안보담당 보좌관(1982-1988년)으로 계속 정보와 안보 부문에서 경력을 쌓았다.
그레그 전 대사는 특히 김대중 전 대통령과 각별한 인연을 맺고 있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그레그 전 대사가 CIA 한국지부장으로 재임한 첫해인 1973년 8월8일 김 전 대통령이 일본 도쿄에서 납치되면서 구명작업에 깊숙이 개입한 것이 계기였다. 당시 그레그 지부장은 김대중 납치사건이 한국 중앙정보부에 의해 일어난 것이라고 결론을 내리고, 당시 하비브 주한 미대사와 함께 사태 해결에 힘썼다. 김대중 전 대통령이 납치 13일 만에 생환할 수 있었던 것은, 일본 정부의 노력과 함께 그레그 전 지부장의 노력이 큰 구실을 한 것으로 평가된다. 그레그 전 대사는 또 1980년 5ㆍ18 광주 민주화운동 뒤 김 전 대통령에게 사형선고가 내려졌을 때도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의 특사로 한국에 급파돼 김대중 구명운동을 벌였다.
도널드 그레그 전 대사는 주한 미 대사직을 마치고 미국에 돌아간 뒤는 뉴욕 맨해튼에서 코리아 소사이어티를 구성한 뒤 한국과 미국의 가교 구실을 해오고 있다. 코리아 소사이어티는 뉴욕에서 한국을 소개할 수 있는 각종 강연회나 전시회 등을 개최함으로써 미국 내에 한국을 알리는 데 큰 구실을 해오고 있다. 초기 회장으로서 직접 활동을 해왔던 그는 현재는 이사장으로서 코리아 소사이어티의 업무를 전반적으로 조율하고 있다.
이렇듯 그레그 전 대사는 지한파이면서도 공화당의 핵심 요직을 지냈고, 한국 관련 정보활동에 정통한 인물이다. 이런 비중을 가진 도널드 그레그가 천안함과 관련해 잇따라 발언하고 있는 데 대해 그 의미에 대한 해석이 분분하다. 더욱이 그의 “러시아가 조사 보고서를 밝히지 않는 이유는 이를 공개하면 이명박 정부에 큰 타격이 되기 때문”이라는 내용의 그의 기고문이 뉴욕임스에 실린 것 등을 고려할 때 미국 내에서 천안함을 한국 정부와는 다른 시각으로 재검토해봐야 하는 것 아니냐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는 것이라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e뉴스팀
» 김대중 전 대통령이 7일 저녁 서울 홍은동 그랜드힐튼호텔에서 열린 노벨평화상 수상 6주년을 기념하는‘한반도 평화의 밤’행사에서 도널드 그레그 미국 소사이어티 회장으로부터 밴 프리트상을 받고 있다. 김종수 기자 jongsoo@hani.co.kr / 2006.12.7
------------------------------------
http://www.nytimes.com/2010/09/01/opinion/01iht-edgregg.html?_r=1&scp=1&sq=donald%20gregg&st=cse
The Newyork Times | International Herald Tribune
I.H.T. Op-Ed Contributor
Testing North Korean Waters
By DONALD P. GREGG
Published: August 31, 2010
Former President Jimmy Carter deserves great credit for traveling to Pyongyang and securing the release of a U.S. citizen, Aijalon Mahli Gomes, who had been sentenced to eight years in prison for illegally entering North Korea.
The Obama administration had gone out of its way to assert that Mr. Carter was on this mission as a private citizen and that he carried no message from the White House. The North Koreans also made clear to Mr. Carter before his departure that he would not be able to meet the North Korean leader, Kim Jong-il. In fact, Mr. Kim left for China shortly after Mr. Carter’s arrival.
Still, the Carter visit may help the White House to soften the hostility of its stance toward Pyongyang, especially since the sinking of a South Korea naval ship last March.
Given the difficult agenda he inherited when he came into office, President Barack Obama did not give high priority to dealing with North Korea, whose leaders were seen as obscure and irascible. For example, a suggestion last year that the White House invite Kim Jong-un, Kim Jong-il’s youngest son and probable successor, to the United States was not seriously considered.
Instead, President Obama formed a strong relationship with South Korean President Lee Myung-bak, whom he saw as the dynamic leader of a strong American ally, and was content to let Seoul set the pace in terms of dealing with Pyongyang.
Mr. Lee’s policies toward North Korea were considerably tougher than those of his two predecessors, Kim Dae-jung and Roh Moo-hyun, both of whom met with Kim Jong-il. Mr. Lee, by contrast, cut economic aid to the North and increased pressure for political concessions from Pyongyang.
Still, a year ago, it seemed possible that relations between Seoul and Pyongyang might improve. A North Korean delegation to the August 2009 funeral of former President Kim Dae-jung, champion of the “sunshine policy” of engagement with North Korea, was warmly received by President Lee. Later in 2009, North Korea proposed a North-South summit meeting and also invited Kim Dae-jung’s widow to visit Pyongyang.
But while these conciliatory gestures by North Korea were still under consideration, on March 26 the South Korean Navy frigate Cheonan exploded and sank under mysterious circumstances in the Yellow Sea just off the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where North and South Korean naval vessels have often clashed.
A South Korean investigation concluded that the ship was sunk by a torpedo fired by a North Korean submarine. The United States concurred, and the sinking of the Cheonan came to be viewed in the United States as proof of North Korean infamy.
The United States imposed additional sanctions on the North and joined South Korea in staging military exercises of an unprecedented scope on sea and land.
One of South Korea’s leading diplomats put it to me this way: “The Lee government has burned all its bridges with North Korea, and has been undertaking hard-line policies with no exit strategy. The current North-South relationship resembles a classic game of chicken.”
One problem, however, is that not everybody agrees that the Cheonan was sunk by North Korea. Pyongyang has consistently denied responsibility, and both China and Russia opposed a U.N. Security Council resolution laying blame on North Korea.
In June, Russia sent a team of naval experts to look over the evidence upon which the South Korea based its accusations. Though the Russian report has not been made public, detailed reports in South Korean newspapers said the Russians concluded that the ship’s sinking was more likely due to a mine than to a torpedo. They also concluded that the ship had run aground prior to the explosion and apparently had become entangled in a fishnet, which could have dredged up a mine that then blew the ship up.
South Korea has not officially referred to the Russian conclusions. When I asked a well-placed Russian friend why the report has not been made public, he replied, “Because it would do much political damage to President Lee Myung-bak and would embarrass President Obama.”
Recent statements by senior U.S. officials in Washington have continued to blame the Kims for the sinking of the Cheonan; it was purportedly done to prove the toughness of the ruling family as it prepares for another transition.
But whatever the impact of military maneuvers, economic sanctions and verbal attacks might be, those in Washington and Seoul who are hoping for a collapse of the Kim regime are doomed to disappointment. China will not let that happen.
China might not be happy with a nuclear-armed North Korea, but it is far more worried by instability on the Korean Peninsula.
Putting further pressure on Pyongyang also only strengthens its dependence on China. The increasing frequency of Kim Jong-il’s trips to China, and the quality of the reception he receives, are clear indications of this trend.
American pressures are also likely to instill a mistrust and hostility toward the United States in the mind of Kim Jong-un, who is in his mid-20s and about whom little is known.
The disputed interpretations of the sinking of the Cheonan remain central to any effort to reverse course and to get on track toward dealing effectively with North Korea on critical issues such as the denucleariz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Details of the South Korean investigation of the Cheonan tragedy have not been made public, and undercurrents of opposition to its conclusions are growing stronger in Seoul.
We do not know yet whether Mr. Carter discussed the Cheonan issue while he was in Pyongyang. We do know that the former U.S. president is respected in North Korea for having had a friendly and useful conversation with Kim Il-sung, the first North Korean ruler, in 1994. Thus it is likely that he did hear from North Korean leaders their version of what happened.
In my own meetings with North Korean officials over the years, I know them to be frank and articulate in expressing their government’s positions.
Thus I believe that Mr. Carter, known for his independence and his willingness to enter into controversy, may well have come back with more than Mr. Gomes. The insights he will have picked up from his talks with top leaders other than Kim Jong-il should coincide with an emerging realization within the Obama administration that its current stance toward the North, featuring sanctions and hostility, is having little positive impact, and that a return to some form of dialogue with Pyongyang needs to be considered.
Stephen Bosworth, a former ambassador to Seoul and now the U.S. special envoy for North Korean issues, has long favored more dialogue with Pyongyang. There also is a growing realization in Washington that alienating China is an inordinately high price to pay for putting pressure on Pyongyang.
So the White House, in choosing to send Mr. Carter at this time, may deserve credit for seeking to change a hostile stance toward North Korea into a more effective policy.
.......
Donald P. Gregg, the national security adviser to Vice President George H. W. Bush from 1982 to 1988 and ambassador to Korea from 1989 to 1993, is chairman emeritus of the Korea Society.
'세상 이야기 > 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최문순 의원에게 욕한 KBS 전종철 기자 알고보니/ daum agora (0) | 2010.09.11 |
---|---|
천안함 정부 발표, 못 믿는 국민이 더 많다/ 오마이뉴스20100908 (0) | 2010.09.08 |
100만 민란, 문성근이 간다 /한겨레21 (0) | 2010.09.05 |
[프레시안 books 인터뷰] 23년 만에 <자본> 완간한 강신준 교수 (0) | 2010.09.05 |
당신의 밥상을 노리는 투기자본/ 시사IN 154호 (0) | 2010.08.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