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상 이야기/사회

귀농귀촌하시는 분들께 드리는 제언 /이남곡 20130626

by 마리산인1324 2013. 10. 9.

<휴심정> 2013. 06. 26

http://well.hani.co.kr/408085

 

 

 

 

귀농귀촌하시는 분들께 드리는 제언
주경야독(晝耕夜讀)하는 즐거운 농촌의 삶을 권합니다

 

-  이남곡 -



요즘 귀농 귀촌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습니다.
절대빈곤에서 벗어나기 위한 산업화의 거센 물결이 한창 불어닥칠 때 이농(離農)이 한 시대를 대표하는 현상이었다면, 그 후 반세기가 지나 나타나는 귀농 귀촌은 산업화 이후 새로운 시대적 흐름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반세기 전의 이농(離農)도 지금의 귀농귀촌도 행복을 위한 것임에는 다름이 없습니다. 다만 그 성격과 질이 다른 것이지요.

신자유주의의 세계질서 속에서 부존자원의 성격이나 지정학적 조건들로 ‘교역국가’의 운명을 받아들일 수 밖에 없는 우리의 경우, 우리의 농업과 농민, 농촌을 지키기 위한 힘겨운 싸움이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제도적이고 구조적으로 문제의 해결을 위해 노력해야함은 더 말할 필요가 없겠지만, 이제 여기서 한발 더 나아가 우리의 농업과 농촌이 산업화 이후의 진정한 행복을 추구하는 하나의 새로운 삶의 터전 또는 삶의 양식(樣式)으로 국민의 마음 속에 자리잡을 때, 농업은 농민의 것만이 아니라 국민의 농업으로 자리잡게 될 것이고, 어떤 세계화의 파고(波高)도 넘어설 수 있는 참된 기반을 갖게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귀농귀촌하는 삶이 행복해야 합니다.

농사한겨레류우종기자.jpg

나는 그런 의미에서 새로운 의미로 주경야독(晝耕夜讀)의 삶을 권하고 싶습니다.
내가 사는 이웃동네의 이름이 논곡(論谷)입니다. ‘논실’이라고도 불리지요. 주변에서는 제일 큰 동네입니다. 한창 적에는 백 호(戶)가 넘었다니까요. 마을 앞에 주경야독하던 인후(仁厚)한 마을의 연혁이 자랑스럽게 돌에 새겨 있습니다. 그런데 이 이름의 마을이 나라 전체에 꽤 있는 것 같습니다. 

 

나는 귀농 귀촌이 단지 사람들이 농촌으로 돌아오는 현상적 흐름을 넘어서, 과거 주경야독의 문화적 전통이 한 단계 더 높게 승화되어 돌아오는 문화적 현상으로 되었으면 합니다. 진정한 행복을 위해서지요. 주경야독하는 삶은 행복한 농촌의 삶을 위해 대단히 좋은 길잡이가 될 수 있다고 나는 믿고 있습니다. 특히 고전(古典)을 읽는 것이 좋고, 가끔 이웃과 함께 읽는 ‘독서모임’ 같은 것을 갖는 것은 더욱 좋습니다. 

현대인들은 물질주의와 이기주의의 질곡에 갇혀 그 생명력이 제대로 발현되지 못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특히 그 산업화 과정이 대단히 빠르게 압축적으로 진행되다보니 그런 현상이 더 두드러집니다. 가히 물신(物神)이 지배하고, 이기(利己)의 늪에 빠져 있다고 말해도 과언이 아니지요. 이것을 해방하여 물질적 제약이나 사회적 제약으로부터 자유롭고, 사람과 자연을 포함하여 모두가 사이좋으며,  삶과 노동 그 자체가 즐거운 상태로 되는 것이 모두가 바라는 것이 라고 생각하는데요. 그렇지 않을까요? 이것이 지금을 ‘문명전환기’의 가장 큰 바탕이 아닐까요?

 

그렇게 되기 위해서는 과거 위대한 사상가들의 깨달음이 이제 보통 사람들의 일상의 삶 속에서 실현되는 것이 절실하게 요구된다고 생각합니다. 현대가 봉착하고 있는 여러 문제들에 대한 근본적인 해법도 여기에 있다고 생각합니다만... 귀농귀촌하시는 여러분들의 삶이 진정한 행복으로 이어진다면, 이것이야말로 자신도 좋고 세상도 좋은 일이 아니겠습니까? 그 지혜와 힘의 원천을 고전을 읽는데서 찾아보실 것을 권하고 싶은 것입니다.

간략하게 몇가지를 말씀드려 보겠습니다.

1. 사이좋은 이웃

 

요즘 화두처럼 들리는 말이 ‘소통’입니다. 인터넷 특히 SNS등의 발달 등으로 소통을 위한 기술적 수준은 엄청나게 발전했지만, 가까운 사람끼리의 소통이나 그 마음의 상태 등을 보면 진정한 소통과는 거리가 먼 것 같습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이웃과 잘 소통하는 것입니다. 특히 농촌의 삶에서는 행복을 위한 절대 조건입니다. 아무리 주변 경관이 뛰어나고, 맑은 물, 좋은 공기가 있다해도 이웃과 사이가 나빠지면 결코 유쾌한 삶이 될 수 없습니다. 

 

그러면 어떻게 해야 이웃과 사이가 좋아질까요? 자신과 생각이나 이해(利害)가 다를 때 무조건 양보하고 참아야할까요? 사이좋음을 위해서... 참고 양보하는 것도 때로는 필요하겠지요. 그러나 참는 것은 한계가 있습니다. 참는 것은 일종의 독(毒)입니다. 이 독이 저절로 약(藥)으로 변하지는 않습니다. 마음의 진화가 있어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서로 사이가 안 좋아지는 바탕에는 ‘내 생각이 틀림없다. 당연하다.’는 것이 깔려 있습니다. 사실이 그럴까요? 나는 여기, 즉 ‘사실은 어떤가?’에서 시작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참아서 양보하는 것이 아니라 자각(自覺)을 일상화하는 것이지요. 고전에서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요즘은 과학이 발전해서 훨씬 고전을 잘 읽을 수 있습니다. 공자의 “내가 아는 것이 있겠는가? 아는 것이 없다.(吾有知乎哉? 無知也)라는 무지(無知)의 선언이나 ”모르는 것을 자각하는 것이 참된 앎의 시작“이라는 소크라테스의 말, ”오직 모를 뿐(only don't know)"을 화두로 서구 사회에 한국불교를 널리 알린 숭산 선사 등이 그 좋은 보고(寶庫)가 될 것입니다.

현대과학으로 인식의 메카니즘을 이해하면 이 말들은 훨씬 잘 다가옵니다.
“우리가 아는 것은 각자의 서로 다른 감각기관과 서로 다른 저장된 정보가 만나서 판단하는 것일 뿐, 사실이나 실제와는 다른(별개의) 것”이라는 것을 일상적으로 자각하는 것이지요. 물론 머리로 자각한다고 해서 자신과 다른 사람의 말이나 생각이 잘 이해되고, 사이가 나빠지지 않는다고 기대할 수는 없습니다. 오랫 동안 “내 생각이 틀림없어” 하고 훈습된 상태가 빨리 변하지는 않기 때문이지요. 그러나 늘 의식하고, 특히 다른 생각을 만나 힘들 때 이 자각(自覺)을 연습하는 기회로 한다면 ‘가랑비에 옷 젖듯’ 변해 갈 것입니다. 처음에는 참는 마음으로 하는 경우가 많겠지만 점차 참는 것(忍이라는 毒)에서 그대로 받아들이는(恕라는 藥) 마음의 진화가 일어날 것입니다. 이것이 진정으로 이웃과 사이좋아지는 길이 아닐까요?

2. 경쟁을 넘어서, 자기 실현의 즐거운 노동

요즘 세계적으로 신자유주의에 대한 비판과 반대의 목소리가 높습니다. 그 바탕에는 자유라는 이름 아래서 이루어지는 경쟁의 비인간성, 야만성이 있는 것 같습니다. 그러나 지금의 높은 생산력과 소비수준의 근저에는 ‘경쟁’이 있습니다.

 

사람은 혼자서는 살 수 없습니다. 누군과와는 같이 해야합니다. 그런데 오랜 세월 늘 부족한 재화를 놓고 다투다보니 이 ‘경쟁’이 지배적인 인간 행위의 바탕처럼 되어버린 것 처럼 보입니다. 이제는 재화가 풍부해졌는데도 이 경쟁의식은 변하지 않고, 더 많은 물질에 대한 욕구와 결합하여 ‘무한경쟁’을 찬미하는 지경에 왔습니다. 그런데 ‘경쟁’은 결코 행복하지 않습니다. 이것을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이 자각하고 있습니다.  이것을 자각하고 삶 자체를 바꾸는 결단(?)을 내리는 과정으로 귀농귀촌을 선택하는 분들이 적지 않습니다. 요즘의 협동조합이나 마을운동들이 큰 흐름으로 나타나는 것은 대단히 좋은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결코 행복으로 이어지지 않는 경쟁 대신에 자기실현의 즐거운 노동에 의한 적절한 생산력이 어떻게 하면 가능할까요?

 

그런데 문제는 ‘이제는 협동하자!’고 해서 경쟁을 넘어서지는 것이 아니라는데 있습니다. 협동할 수 있는 사람, 즉 협동할 수 있는 마음의 상태로 되는 것이 먼저 되어야 비로소 협동할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즉 협동이 즐거워야 생산력도 떨어지지 않게 됩니다.

그렇게 되려면 무엇이 필요할까요?
우선 자기와 다른 방식으로 일하는 다른 사람을 그대로 받아들일 수 있는 마음이 먼저 되어야 합니다. 공자는 이것을 서(恕)라고 합니다. 그래야 자기 일에 자발적으로 전념할 수 있게 됩니다. 공자는 이것을 충(忠)이라 부르고, 15세기의 에크하르트는 이것을 ‘거룩함’이라고 부릅니다. 무엇이라 부르건 이 서(恕)와 충(忠)이 협동할 수 있는 마음이라고 생각합니다. 강제적인 협동은 있을 수 없는 것이지요. 특히 현대에서는... 이 강제는 타자나 집단에게서 유형 무형으로 오는 것 뿐 아니라 자신의 마음 속에서 일어나는 것도 포함되는 것이지요.

3. 진정으로 자유롭고, 유쾌한 인간--현대의 군자들이 사는 마을을 꿈꾸며

현대 인류는 전쟁, 양극화, 지구생태계의 위기 등의 난제 등에 직면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사실 이런 문제를 야기하는 근본 모순은 인간의 엄청난 행위능력과 그다지 변치 않는 자기중심적 가치체계의 모순에 있는 것입니다. 행위능력을 멈출 수는 없기 때문에 자기중심성을 넘어서는 의식의 진보가 그 해답이 될 것입니다. 

 

나는 중용에 바탕을 둔 공자의 군자(君子)상(像)이 현대에 어필한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다른 선구자들이 이상으로 하는 인간상들도 표현은 다를지 몰라도 본질적인 지향은 갖다고 생각합니다만... 우리가 사는 마을이 이런 군자들이 사는 마을이 되면 얼마나 좋을까요? 그래서 논어에 나오는 다음의 몇 구절을 통해 이야기를 나눠보도록 하겠습니다. 

“군자는 의義에 밝고, 소인은 리利에 밝다.” 君子 喩於義 小人 喩於利 

“군자는 위로 달하고, 소인은 아래로 달한다.” 君子上達 小人下達

“군자는 화합하되 같게 하려 아니하고, 소인은 같게 하려 하되 화합하지 못한다.”  
君子 和而不同 小人 同而不和

“군자는 태연하지만 교만하지 않고, 소인은 교만하지만 태연하지 못하다.”
 君子 泰而不驕 小人 驕而不泰 

“군자는 긍지를 가지면서도 다투지 아니하고, 여러 사람과 어울리면서도 편을 가르지 않는다.”                                     
 君子 矜而不爭 群而不黨

소로우오두막집.jpg

4. 정신과 물질의 조화--마음도 몸도 풍요로운 농촌
 
인간의 첫 번째 생존 조건은 경제입니다. 물질생활은 인간의 행복을 위한 필수조건입니다. 그런데 이것이 역전되어 물질이 인간을 지배하게 되면 그것은 진정한 행복과는 거리가 멀어집니다. 자본주의의 최대 기여는 인간의 물질적 수요를 충족하게 하는 생산을 가능하게 한 것이지만 최대의 문제는 인간소외인 것이지요. 즉 물질이 인간을 지배하는 역전현상이 일어난 것입니다. 이것을 제대로 돌려 놓지 못하면 개개인의 행복은 물론 인류의 생존이 아니 존속 그 자체가 위험해질 것입니다.

 

그래서 요즘 ‘단순소박한 삶’이 하나의 화두처럼 떠오릅니다. 공생공빈(共生共貧;같이 살고 함께 가난하기)이나 ‘자발적 가난’이라는 말도 이런 취지에서 나오는 말이라고 생각합니다. 다만 너무 극단적이 되거나 진정한 자발성에서 나오지 않게 되면 보편화하기 힘든 주장으로 비춰지기 쉽다고 생각합니다. 예전부터 안빈락도(安貧樂道)라는 말이 있습니다. 나는 이것을 현대적으로 음미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가난을 즐기는 것이 아니라. 도(道)를 즐기는 것이지요. 

 

오늘날 이 도(道)란 무엇일까요?
나는 그것이 정신적, 예술적, 영적 욕구로부터 나오는 진정한 ‘인간의 즐거움’이라고 생각합니다. 여기서 ‘인간’이란 동물계로부터 한 단계 나아간 존재를 말하는 것입니다. (동물을 폄하하는 것은 아닙니다.ㅎㅎㅎ) 이런 욕구들이 커지면, 자연스럽게 물질에 대한 욕구는 감소하게 됩니다. 나는 이렇게 욕구의 질이 변해서 이루어지는 ‘단순소박한 삶’이 진정한 행복이라고 생각합니다. ‘자발적 풍요’인 셈이지요. 아마 자발적 가난이란 표현도 그 뜻이 같겠지만, 자칫하면 참아내야 하는 부자유가 섞일 수 있어서 현대인들의 높은 자유도(自由度)를 생각하면 ‘자발적 풍요’라는 표현이 어떨지...

이상으로 오늘 제가 드리고 싶었던 말을 마치려합니다.
아무쪼록 여러분의 귀농귀촌이 행복하시길 기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