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삶의 이야기/생활

[시대의 소리꾼 장사익] ① 욕심도 사랑도 죽음도 엮어(한겨레 070130)

by 마리산인1324 2007. 1. 31.

 

<한겨레신문> 2007-01-30 오전 11:43:42

http://www.hani.co.kr/arti/culture/music/187385.html

 

슬프디슬픈 꽃망울로 툭 터진 ‘하얀 노래’

[시대의 소리꾼 장사익] ① 욕심도 사랑도 죽음도 엮어
마흔세 살 카센타 더부살이 삶에 불어온 찔레꽃향기
한겨레 이길우 기자

 

» [화보] 장사익의 웃음.


왜 찔레꽃 향기가 너무 슬프다고 했을까?

 

그는 찔레꽃 향기가 너무 슬퍼서 목놓아, 그것도 모자라 밤새워 울었다고 노래했다. 아니 노래를 불렀다기보다 울부짖었다.

 

이 시대 최고의 소리꾼으로 불리는 장사익(59). 가슴이 떨렸다. 보름전 인터뷰 약속을 하고, 막상 그를 만난다고 생각하니 진한 흥분이 온 몸을 감쌌다. 지난 26일 그와의 인터뷰는 그의 노래가 너무 좋아서, 마치 광(狂)팬의 마음가짐으로 진행됐다. 자하문 너머 보이는 북한산 자락에 자라잡은 그의 자택 2층.

 

한쪽 벽면을 통유리로 만들어 북한산 기슭이 아래로 내려다 보이는 그의 응접실이자 작업실에서 그가 끓여주는 중국 보이차를 마시는 호사를 누렸다.

 

전날 예술의 전당에서 펼친 ‘노래판’의 피곤이 가시지 않은 얼굴. 그러나 깊은 주름과 적당히 자란 희끗희끗한 턱수염이 잘 어울린다.

 

» 장사익이 서툴게 잘라온 사과와 외출했다가 뒤늦게 귀가한 부인이 내놓은 딸기.

» 찻잔 테이블을 겸한 응접실 나무 탁자.

» 장사익이 손님 접대를 위해 다기에 손수 끓인 중국 보이차를 내놓았다.

» 2층 응접실 겸 작업실의 한쪽은 벽면 전체가 통유리로 북한산이 시원하게 내려다 보인다.

‘이건 아니다’ 생각에 새납 딱 3년 배워 인생 바꾸기로

 

데뷔작이자, 대표작으로 꼽히는 <찔레꽃>의 가사에 대한 궁금함으로 실타래를 풀었다.

 

“왜 찔레꽃 향기가 슬프다고 했죠?”

 

(사실 이 노래를 늘 즐겨 들으며 궁금했다. 찔레꽃 향기에 대해 별다른 선입견은 없지만, 꽃 향기에 진한 슬픔을 이입시키는 것은 예사롭지 않았다.)

 

“아마 1992년 말께었죠. 내가 43살 때였을 것입니다. 그때 변변한 직업도 없이 친척이 하는 강남의 카센타에서 수리하러 온 차를 주차시키며 살아가던 때였죠. 바닥이었습니다. 생의 바닥이라고 느껴졌어요. ‘이건 아니다’라고 울분을 토하던 때였습니다. 그래서 새납(태평소)를 배우기로 했어요. 더늦기 전에 하고 싶은 것을 해야겠다고 결심했어요.”

 

그는 40대 초반 자신 인생의 역전을 꿈꿨단다. 그럼 인생 역전과 찔레꽃은 어떤 관계가 있을까? 그는 자신이 작사 작곡한 <찔레꽃>에서 찔레꽃을 ‘별처럼 슬프고, 달처럼 서럽다’고 표현했다.

 

“봄이면 배 고파 들판에서 따먹던 그 꽃에 내 모습이…”

 

찔레꽃이 그의 입을 통해 피어나기 시작한다.

 

“그해 겨울이 지나고 봄이 왔어요. 그때는 잠실 고층 5단지에 살았어요. 5월 어느날 아파트 단지를 나오는데 어디선가 진한 꽃 향기가 느껴졌어요. 불어오는 따뜻한 바람에 실려온 꽃 향기였어요. 주변을 보니까 붉은 장미만 눈에 띄었어요. 분명 장미냄새는 아니었어요. 장미덩쿨를 살피고 있는데 흰 꽃잎의 찔레꽃이 수줍게 피어 있는 것이 보였어요. 순간 어릴 때 기억이 났어요. 봄이면 들판에 핀 찔레꽃을 따 먹곤 했어요. 찔레꽃은 회충을 죽인다고 어른들이 말하곤 했어요. 장미덩쿨 뒷쪽에 나지막히 옹기종기 피어 있는 찔레꽃이 너무 아름답게 느껴졌어요. 그리고 그 찔레꽃이 내 모습처럼 보였어요. 당당히 나서지 못하고, 폼잡지 못하고, 쭈삣쭈삣 눈치나 보고 있는, 그런 모습과 나의 모습이 오버랩되는 것이었어요. 그래서 슬퍼졌어요. 그냥 슬펐어요.”

 

장사익은 그 감정으로 <찔레꽃> 노래를 만들어냈다.

 

“막 울었어요. 그리고 막 토해냈어요. 슬픔을 쏟아내니 개운해졌어요. 슬픔이 씻겨나가고 마침내 기쁨으로 승화되는 느낌이었어요.”

 

피아노의 조용한 반주 속에 나지막하게 시작되는 그의 <찔레꽃>을 다시 한번 음미해 본다.

 

“하얀 꽃 찔레꽃/ 순박한 꽃 찔레꽃/ 별처럼 슬픈 찔레꽃/ 달처럼 서러운 찔레꽃/
(나지막하게 읊조리듯 시작한 이 노래는 점차 톤이 올라간다)

 

찔레꽃 향기는 너무 슬퍼요/ 그래서 울었지 목놓아 울었지/
찔레꽃 향기는 너무 슬퍼요/ 그래서 울었지 밤새워 울었지/
(이제 중창단과 함께 반복한다)

 

· · · 후 렴 · · ·

 

아! 노래하며 울었지/ 아! 춤추며 울었지/ 아! 당신은 찔레꽃”

 

비록 가사에서는 ‘당신은 찔레꽃’이라고 했으나 사실은 그 자신이었다. 그리고 중년의 남자가 꽃향기에 취해 울었다. 어느날 바람에 실려 온 꽃향기를 취해 만든 <찔레꽃>.

 

이 노래는 장사익 본인뿐 아니라 이 노래를 듣는 많은 이들의 감정샘과 눈물 샘을 오늘도 진하게 자극한다.

» 응접실 한쪽에 있는 징.

» 목포의 눈물 악보.

» 창밖을 바라보며 장사익이 노래를 연습하는 곳. 우리 가요 악보책과 기타가 놓여 있다. 악보책엔 ‘목포의 눈물’이 펴져 있다.

술집 벽지에 휘갈겨 쓴 시, 쓰레기통에서 찾아서 거침없이

 

이번엔 그의 자유롭고 거침없는 노래풍을 그대로 보여주는 <국밥집에서>의 가사를 물었다.

 

노래 중간에 “이 풍진 세상을 만났으니 너의 희망이 무엇이냐/ 부귀와 영화를 누렸으니 희망이 족할까”라는 익숙한 ‘희망가’가 삽입된 이 노래의 후반부에는 장사익이 비장한 톤으로 외친다.

 

“그렇다/ 저 노인은 가는 길을 안다/끝내 흙으로 돌아가는 길을 안다”

 

노인의 죽음을 초월한, 인생을 달관한 경지를 한 줄로 표현한 이 노래를 들으면 속세의 부질없는 욕심이 부끄럽기만 하다.

 

“이 노래의 가사는 누가 만든 것이죠?”

 

“최산이라는 친구가 있어요. 그 최산이 강남의 어떤 술집벽에 휘갈려 놓은 시죠. 항상 이 시가 좋다고 생각하며, 언제나 저 시로 노래를 만들어야지라고 생각했어요. 그래서 마음먹고 그 술집을 갔는데 벽지를 새로 한다고 모두 쓰레기통에 버린거예요. 그래서 쓰레기통을 뒤져서 그 시를 찾아 냈어요. 그리고 노래를 엮었죠.”

 

엮는다. 그는 노래를 만드는 것이 아니라 ‘엮는다’고 표현했다. 그러고 보니 그는 삶을, 노래를, 인생을, 고뇌를, 욕심을, 죽음을, 사랑을 줄줄이 엮는다. 그리고 그가 엮은 노랫 가락은 그의 입을 통해, 누에고치가 비단실을 풀어내듯 줄줄이 내 뿜는다.

 

그의 흥얼거림과 온 몸을 감싸는 끈끈함은 듣는 이의 감각을 마비시킨다. 과연 어디서 그의 노래가 품고 있는 마력과 괴력이 생겨난 것일까? (계속)

 

» 소리꾼 장사익에게 풍경소리는 어떻게 들릴까.

» 깊게 패인 입가의 주름, 희끗희끗한 턱수염, 손을 쓸어넘긴듯한 머리칼... 북한산 자락의 집에서 만난 소리꾼 장사익의 너털 웃음은 여전했다.

글·사진 <한겨레> 이길우 기자 nihao@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