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삶의 이야기/생태환경

괴산군의 식생(강상준)

by 마리산인1324 2007. 2. 15.
 

<자연생태계 전국조사 1990 - 제5차년도 충북의 식생>에서 괴산군 부분만 수록

http://egis.me.go.kr/egis/intro.asp

환경지리정보서비스

 


괴산군의 植生


康 祥 俊(忠北大學校 科學敎育科 敎授)


1. 개관


忠淸北道는 韓半島의 中央에 位置하고 있고, 우리나라에서는 바다와 接하지 않고 있는 유일한 道로서, 緯度上으로는 東經 127°15′31″∼128°33′29″ 사이와 北緯 36°0′42″∼37°14′53″사이에 位置하고 있다.


     忠北의 總面積은 7,436.88㎢로서 南北韓 全國土의 3.38%, 南韓 國土의 7.51%에 不過한 작은 道이다. 본 調査對象地 인 淸州市의 面積은 119.0㎢, 淸原郡의 面積은 835.39㎢ 그리고 傀山郡의 面積은 936.98㎢로서 각각 忠北 전지역의 1.6%, 11.2% 및 12.6%에 該當한다.


     忠淸北道는 內陸地域에 位置하고 있으므로 氣候는 大陸的인 特性을 갖고 있다. 年平均氣溫은 10-12℃로 溫暖한 편이다. 1월의 平均氣溫은 -5-3℃, 8월의 平均氣溫은 25℃내외로 여름과 겨울 氣溫의 年較差는 거의 30℃에 달한다.


     最近에 任과 Kira(1975)는 溫暖指數(Warmth Index;WI)와 寒冷指數(Coldness Index;CI)의 絶對値를 합한 수치가 溫度氣候에 있어서 大陸性(Continentality)의 훌륭한 指標가 된다고 提案하였다. 忠淸北道의 몇 개 지역에서 算出한 大陸度의 順序를 보면, 報恩 114.3, 堤川 118.3, 忠州 120.2, 그리고 淸州 120.5로서 海岸地方인 釜山의 120.5와 木浦의 121.4에 比하여 淸州와 忠州를 제외한 곳은 그 大陸度의 수치가 작았는데 이것은 內陸地方임을 意味하는 것이며 淸州와 忠州의 수치가 높은 것은 所謂 都市化現狀(Urbanization phenomenon)때문일 것이다.


     또한 氣溫의 年較差는 海岸地域인 釜山이나 木浦의 25.1℃와 26.3℃임에 비하여 忠北地方의 그것은 변동이 27.2-29.5℃로서 크고, 기온의 日較差도 1월에 23.8-27.9℃로 變化의 폭이 크나, 8월에는 17.1-17.9℃로서 그 폭이 작다. 이러한 大陸度, 氣溫의 年較差 및 氣溫의 日較差 등을 考慮할 때 忠淸北道는 우리나라의 典型的인 大陸性 氣候現狀을 나타내고 있는 內陸道임을 確認할 수 있다.

       이러한 忠淸北道는 江原道, 京畿道, 慶尙北道 및 全羅北道의 4個道에 俵해서 둘러싸여 있다(Fig.1). 忠淸北道와 江原道의 境界地域인 東北部는 太白山脈으로 부터 車嶺山脈, 小白山脈이 分岐되는 곳이며, 京畿道와의 境界에는 車嶺山脈이, 慶尙北道와 全羅北道에 接하는 東南部에는 小白山脈이 南西方向으로 뻗어 있다. 이에 따라 東高西低 南高北低의 形狀을 나타내며 北部山地, 東部山地, 中央丘陵地, 北部低地 및 西部低地등 5개의 地形區로 나눌수 있다.


     본 조사지역인 淸州市와 淸原郡은 西部低地에 그리고 槐山郡은 中央丘陵地에 해당이 된다. 西部低地는 주로 錦江上流 美湖川 流域을 中心으로 發達되며 淸州, 會平, 鎭川, 笑江, 烏致院一帶에 넓은 平野가 展開되어 있고 이 地域은 大寶花崗巖과 선캠브리아 垁狀片麻巖類가 주로 分布하고 있는 지역이다.


     中央丘陵地는 忠北의 中央部를 南北으로 縱斷하여 南漢江과 錦江의 分水嶺 역할을 하는 일련의 丘陵地로서 地質構造나 構成岩石의 특수성은 없으나 곳에 따라 慶尙系 堆積巖類, 沃川系, 變性最適岩類로 構成된 곳에 이들 丘稜性 山地들이 發達하고 있다(羅 등, 1986).


     淸州市의 人口는 417,435명(1988년 기준), 淸原郡의 人口는 131,003명(1987년 基準) 그리고 傀山郡의 人口는 106,867명 (1987년 基準)이며 본 지역의 林相別 林野面積을 보면 淸州市 3,938ha, 淸原郡 46,247ha, 傀山郡 68,711ha로서 總 118,896ha이고, 林相別 林野面積은 3개 市郡에서 針葉樹林이 61,562ha, 簧葉樹林이 11,948ha 그리고 混合林이 43,133ha로서 總 116,643ha이다.


     任(1977)은 우리나라의 植生分布와 溫度氣候를 關聯시켜 植生分布를 論하였다. 즉 韓半島의 森林帶를 溫度帶로 나누어 보면, CI= -10℃…month의 等値線에 의하여 暖溫帶(照葉樹林帶)와 冷溫帶 南部(개어서나무帶)로 구분하였고, WI=100℃…month에 의하여 冷溫帶 南部와 中部(신갈나무帶)로, WI=85℃…month에 의해 冷溫帶 中部와 北部(난티나무帶)로 그리고 北部와 亞寒帶(가문비나무, 잣나무帶)를 WI=55℃…month(또는 45℃…month)에 의해서 구분하였다. 이에 의하면 忠淸北道는 WI=89-98.7℃…month 範圍에 들어가므로 冷溫帶 北部에 屬하고, 따라서 落葉闊葉樹林(신갈나무帶)이 주된 森林値生임을 알 수 있다.(康 等,1988년)

忠淸北道의 植物相에 대해서는 1961년 鄭과 李의 忠北植物調査硏究라는 報告書에서 總 1,063種을 發表한 以後, 여러 山地에서 단편적으로 植物相을 調査報告하였다(白과 金, 1977 ; 李, 1978 ; 李와 吳, 1979 ; 楊, 1979 ; 金 과 朴, 1979 ; 白 , 1988 ; 李와 趙,1988)


     忠淸北道에는 海拔高度가 1,000m이상의 山地는 小白山, 月岳山, 俗離山, 珉周之山 및 角虎山 등이 있지만, 土壤이 척박하고 열악한 環境條件의 山麓이나 乾燥한 稜線部를 제외하면 自然植生이라고 할 수 있는 植生은 거의 남아 있지 않았다.


     우선, 月岳山의 海拔高度에 따른 植生分布를 보면, 400m이하에서는 계속된 伐採와 開墾등으로 인하여 灌木林이 形成되어 있고, 칡이나 其他 덩굴성식물이 무성하다. 그리고 土壤이 濕하고 肥沃한 곳에서는 溪谷林인 서어나무(Carpinus laxiflora) 群集과 졸참나무(Quercus serrata) 群集이 形成되어 있고, 溪谷을 따라서는 시무나무가 흔히 자라며 산돌배나무, 대팻집나무, 산사나무 등이 棲息한다.


     海拔高度 500m이상의 土壤이 건조하고 척박한 곳에는 소나무(Pinus densiflora) 群集과 굴참나무(Quercus variabilis) 群集이, 그리고 그 사이에는 신갈나무(Quercus mongolica) 群集이 分布한다.


     이 신갈나무 群集은 稜線上의 平但地에 가장 넓게 分布되어 있는데 신갈나무, 고로쇠나무, 물푸레나무, 말채나무, 들메나무, 좁은단풍, 왕고로쇠 등이 林冠을 形成하고, 산뽕나무, 참개암나무, 고추나무, 박쥐나무, 오갈피나무 등이 아래층을 차지하고, 다래와 쥐다래도 드문드문 섞여 있다. 기타 싸리, 참싸리 철쭉꽃, 진달래, 산앵도나무, 생강나무도 때때로 群叢을 이루고 있고, 岩隙에는 꼬리진달래(참꽃나무겨우사리)의 群落도 形成되어 있다. 頂上部에는 진달래, 철쭉꽃이 무성하고 신갈나무, 분비나무, 잣나무, 산조팝나무, 아구장나무, 정향나무, 까치박달이 岩隙 끝에서 자라고 있고, 岩面 위에는 백리향이 돌마타리와 더불어 生育한다.


     한편, 珉周之山에서의 海拔高度에 따른 植生의 分布를 보면 400-800m사이에는 굴참나무 群集, 550-700m지역에는 굴피나무(Platycarya strobilacea) 群集, 600-900m 사이에는 서어나무 群集, 700-1,000m지역에는 들메나무(Fraxinus mandschurica) 群集, 그리고 900m이상의 지역에는 신갈나무 群集이 分布하고 있다.


特히 700-1,000m사이의 지역에는 密度 약 2,500개/ha, 直徑 약 25cm인 둘메나무가 큰 群落을 이루어 分布되어 있는데, 이와같이 넓은 面積에서 들메나무林이 形成되어 있는 곳은 아직까지는 우리나라 어느곳에서도 찾아 볼 수 없다. 그리고 海拔 1,150m부근에서는 신갈나무 原生林이라 할 수 있는 群集이 觀察되었는데 이 나무의 胸高直徑은 최고 100cm에 달하는것도 있다.


     한편, 天馬嶺의 표고 700m에서는 굴피나무의 純林이 分布하는데 높이 22m, 胸高直徑(DBH) 77cm나 되고 이 굴피나무林에는 생강나무, 붉나무, 고로쇠나무, 벚나무, 쪽동백나무, 노린재나무, 좁은잎단풍 등이 生育하고 있다. 이 굴피나무 群集 역시 우리나라의 타 지역에서는 좀처럼 관찰하기 어려운 重要한 稀貴群集이다.


     그리고 角虎山 頂上부근의 乾燥하고 劣惡한 곳에는 쇠물푸레(Fraxinus sieboldiana) 群集이 形成되어 있으며, 特히 大群落을 形成한 지리대사초(Carex okamotoi)는 原 記載場所가 智異山이고 雪嶽山에서 曺溪山에 이르기까지 分布하는데 다른 지역에서 보다 넓은 面積에 거쳐서 分布하고 있어 이곳 각호산이 지리대사초 分布의 中心地로서 바로 이 植物이 발생기원지일 것이라는 見解도 있다(이및 이, 1988)


     小白山 비로봉 南北斜面에 있는 天然記念物 제 244호인 주목(Taxus cuspidata) 群落은 우리나라에서 보기 드문 큰 群落으로서 現在 保護되고 있으며 丹陽郡 梅浦邑 永川里의 측백나무(Thuja orientalis)林은 우리나라 4개 측백나무林인 天然記念物중의 하나로서 石灰巖地帶의 넓은 面積에 걸쳐 自生하고 있다.


     그리고 世界에서 1屬 1種으로 알려진 稀貴食物인 미선나무(Abeliophyllum distichum)는 우리나라에서도 忠北의 傀山郡에서만 自生하는 植物로서 그 學術的 價値는 이미 널리 알려져 있으며, 世界的으로 자랑할만한 특산식물이다. 또한 괴산군 청청면 사담리를 비롯하여 俗離山 법주사 溪谷, 제원군 송계계곡 등에는 망개나무(Berchemia berchemiafolia)林 이 自生하고 있는데 이들 역시 天然記念物로 指定保護되고 있다.


     이상과 같이 忠淸北道에는 他道에선 분포하지 않거나 또는 分布하더라도 稀貴한 植物이나 群落이 自生하고 있어 植物地理學的으로 重要한 位置를 차지하고 있다.


2. 植生


塊山郡은 面積이 936.98㎢이고 그중 耕地面積이 19,805ha, 林野面積이 68,711ha인 地域으로서 이곳 역시 簧葉樹林보다는 針葉樹林이 월등히 많은 地域이다. 이곳 괴산군에는 우리나라의 稀貴植物인 미선나무를 비롯하여 망개나무가 自生하고 있는 곳으로서 全地域의 稀貴食物의 寶庫라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곳 槐山郡의 植物相으로는 93科 240屬 329種 80變種 3品種 總 412種이며, 植物群落으로는 소나무 群落, 상수리나무 群落, 굴참나무 群落, 졸참나무 群落, 신갈나무 群落, 소나무-졸참나무 群落, 굴참나무-소나무 群落, 졸참나무-신갈나무 群落, 굴참나무-신갈나무 群落, 신갈나무-철쭉꽃 群落, 억새 群落 외에 植栽林으로서 일본잎깔나무 群落이었고, 또 代採地域도 넓은 面積에 걸쳐 分布하고 있다.

 

           ① 상수리나무 群落 (Table 13)


    이 群落은 증평읍 밤티 증평저수지 부근 200∼300m 地域에 넓게 분포하고 있는데 樹高는 13m정도이고 植皮率은 80%이다. 이 群落에는 소나무가 가끔 출현 하는 것 외에는 다른 植物이 林冠層을 형성하고 있지 않다. 亞喬木層에는 상수리나무를 비롯하여 떡갈나무, 밤나무, 소나무가 植生을 이루고 있으며 植被率은 30%정도로 被度가 낮다. 灌木層에는 떡갈나무를 비롯하여 졸참나무, 참싸리, 생강나무, 붉나무 등이 植被率 40%정도로 피복되어 있고 草本層에는 역시 상수리나무, 떡갈나무, 붉나무, 조록싸리, 기름새, 조팝나무, 산딸기 등이 植被率 40%로 낮은 被度를 나타내고 있다.


           ② 굴참나무 群落 (Table 14)


    이 굴참나무 群落은 청천면 부성리, 청천면 가령산(664m)의 일부 地域에 分布하고 있는데, 樹高는 10m前後이고 林冠을 형성하고 있는 植物은 굴참나무외에 소나무와 졸참나무이다. 喬木層의 植被率은 80%정도이다. 亞喬木層에는 굴참나무를 비롯하여 때죽나무, 졸참나무, 굴참나무, 소나무로 구성되어 있고, 植被率은 비교적 낮다. 灌木層에는 진달래, 졸참나무, 굴참나무, 참싸리, 생강나무로 형성되어 있는데, 植被率은 50%정도 밖에 되지 않는다. 한편 草本層은 植被率 50% 內外로서 고사리, 애기나리, 대사초, 오이풀, 땅비싸리, 새, 졸참나무, 굴참나무, 비목나무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③ 졸참나무 群落 (Table 15)


    청천면 신월리 신산(500m)부근에 형성되어 있는 群落으로서 林冠層을 구성하고 있는 식물은 졸참나무외에 소나무, 신갈나무, 물푸레나무이다. 植被率은 70%정도 밖에 되지 않고, 亞喬木層을 구성하고 있는 식물은 당단풍, 소나무, 쪽동백나무, 산벚나무인데 植被率은 50%정도이다. 그리고 灌木層은 조록싸리, 국수나무, 붉나무, 개옻나무, 노린재나무, 물푸레나무, 개암나무, 산뽕나무, 머루, 다래 등이다. 草本層에는 조릿대가 피복하고 있어서 林相植物의 종류는 비교적 적으나 기름새, 참취, 선밀나물, 제비꽃, 그늘사초, 닭의장풀 등이 70%의 植被率을 나타내고 있다.

 

           ④ 신갈나무 群落 (Table 16)


    이 群落은 연풍면 행촌리 조령산, 청천면 굴티재, 청천면 가령산의 일부 및 장연면 대성리와 연풍면 주봉리 경계인 소백산맥 稜線을 따라 넓게 그리고 큰 群落을 형성하고 있다.


    樹高는 13∼14m 程度이고 植被率은 80∼90%인데 林冠層을 구성하고 있는 植物은 신갈나무외에도 졸참나무가 있다. 亞喬木層에는 신갈나무가 전연 나타나지 않으나, 당단풍, 쇠물푸레, 쪽동백나무, 철쭉꽃, 벚나무, 졸참나무, 개옻나무 등이 植被率 50%로 피복하고 있다. 灌木層은 역시 조릿대로 피복되어 있어서 植物의 種數가 낮으나 노린재나무, 벚나무, 작살나무, 철쭉꽃 등이 出現하고 있다. 한편, 草本層에는 단풍취, 지리대사초, 노린재나무, 신갈나무, 쪽동백나무, 생강나무, 쇠물푸레, 참취 등이 植被率 80%로 구성되어 있다.


           ⑤ 소나무-졸참나무 群落 (Table 17)


    이 群落은 증평읍 율리, 연풍면 행촌리를 비롯하여 몇 地域에 형성되어 있는 群落으로 소나무와 졸참나무가 林冠層을 형성하고 있다. 樹高는 10m程度이고 植被率은 65∼70%內外이다. 亞喬木層은 水鼓가 7m정도 밖에 되지 않으나 소나무, 졸참나무, 붉나무, 벚나무, 굴피나무가 植被率 30%로 되어 있다. 灌木層에는 졸참나무를 비롯하여 떡갈나무, 참개암나무, 붉나무, 화살나무, 노린재나무, 산초나무, 자귀나무, 청미래덩굴 등의 植物이 植被率 50%정도로 구성되어 있다. 草本層은 그늘사초, 꼭두서니, 억새, 양지꽃, 참취, 향유, 맥문동, 산딸기, 까치수영, 제비쑥 등이 나타나고 植被率은 60%이다.


           ⑥ 굴참나무-소나무 群落 (Table 18)


    이 群落은 괴산군 사리면 화산리, 소수면 앙마리, 소수면 부매리, 칠성면 옥녀봉을 중심으로 넓은 面積에 걸쳐 分布하고 있다. 分布의 標高는 200∼500m 범위이다.


    樹高는 13∼14m이고 林冠을 구성하는 植物은 굴참나무와 소나무인데 植被率은 90%나 된다. 亞喬木層은 樹高가 7m내외이고 굴참나무를 비롯하여 소나무와 떡갈나무로 형성되어 있다. 灌木層에는 역시 굴참나무 외에도 떡갈나무, 마가목, 진달래, 노간주나무, 참싸리로 형성되어 있고 植被率은 40%정도이다. 한편, 草本層에는 산거울을 비롯하여 기름새, 새, 삽주, 청미래덩굴, 사철쑥, 까치수영, 굴참나무, 떡갈나무, 마가목, 졸참나무 들이 생육하고 있으며 植被率은 40%내외이다.

 

           ⑦ 굴참나무-신갈나무 群落 (Table 19)


    이 群落은 칠성면 수청바위골(300∼600m) 地域에 分布하는 群落으로서 樹高는 7m밖에 되지 않으나 굴참나무 등을 비롯하여 신갈나무도 높은 頻度와 被度로 出現한다. 植被率은 70%이다. 亞喬木層에는 소나무가 높은 被度를 나타내지만 이것외에 신갈나무와 굴참나무가 역시 出現한다. 灌木層은 신갈나무, 진달래, 철쭉꽃, 굴참나무가 出現하고 이 層의 植被率은 60%내외이다.


    草本層에는 木本으로서 굴참나무, 졸참나무, 신갈나무, 생강나무 등이 나타나고 草本으로는 그늘사초, 산구절초, 맑은대쑥, 미역취, 삽주, 큰기름새 및 수리취 등이 나타나는데 植被率은 50%정도이다.


         (4) 特記할만한 群落


    전술한 바와 같이 忠淸北道에는 미선나무나 망개나무와 같은 稀貴食物이 棲息하고 있다. 이들 稀貴食物에 대한 조사도 行하였다.


           ① 미선나무(Abeliophyllum distichum)


    이 미선나무는 世界에서 1屬1種만이 존재하는 우리나라의 特産植物로서 忠淸北道 괴산군과 진천군에 自生하는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特히 괴산군 장연면 송덕리와 추점리, 칠성면 율지리의 미선나무 自生地는 天然記念物 제 147, 220 및 221호로 指定 保護되고 있다.


    송덕리의 미선나무 自生地에서 그 植生을 조사해본 結果, Table 20과 같다.

 


Table 20. Floristic composition of Abeliophyllum distichum thicket at Songdeok-ri.

plot number

Species

constancy

Tree layer






Salix koreensis

1

·

·

·

Corylus heterophulla var. thunbergii

1

+

1

+

Quercus acutissima

·

·

·

+

Q. dentata

·

+

1

·

Q. mongolica

3

3

+

+

Q. serrata

+

1

+

+

Morus alba

·

·

+

·

Boehmeria spicata

·

·

3

1

Lindera obtusiloba

+

·

·

·

Spiraea prunifolia

1

·

·

·

S. chinensis

+

·

·

1

Stephanandra incisa

+

+

·

+

Rubus coraegifolius

1

+

·

·

Rosa multiflora

·

·

·

+

Prunus serrulata var. spontanea

·

·

·

+

Crataegus pinnatifida

+

·

·

·

Lespedeza schindleri

1

+

+

+

Zanthoxylum schinifolium

·

·

·

+

Securinega suffueticosa

1

2

2

2

Euonymus alatus

+

·

·

·

Celastrus orbiculatus

+

+

+

+

Fraxinus rhynchophylla

·

+

·

1

Abeloiphyllum distichum

4

3

3

2

Lonicera maackii

·

·

+

·

Artemisia iwayomogi

·

·

1

+

Herb layer






Pteridium aquilinum var. latiusculum

3

+

1

·

Athyrium niponicum

+

+

·

·

Calamagrostis arundinacea

+

2

1

+


Agropyron tsukushiense var.transiens

2

3

2

1

Setzria viridis

+

+

+

·

Digitaria sanguinalis

+

·

·

·

Spodiopogon cotulifer

1

2

1

3

Microstegium vimineum

·

·

2

·

Commelina communis

1

1

+

+

Smilax sieboldii

·

·

·

+

Dioscorea batatas

+

+

+

·

Persicaria sieboldi

+

·

·

·

P. blumei

·

+

·

·

Clematis mandshurica

1

+

·

·

C. apiifolia

+

·

·

·

Thalictrum aquilegifolium

·

·

+

·

Cocculus trilobus

·

·

·

+

Potentilla fragarioides var.major

·

+

·


Agrimonia pilosa

·

+

·

·

Amphicarpaea brevipedunculata var. trisperma

·

+

·

·

Dictamuns dasycarpus

+

·

·

·

Ampelopsis brevipedunculata var. heterophylla

·

+

+

+

Parthenocissus tricuspidata

1

+

+

+

Hypericum ascyron

·

+

·

·

Viola acuminate

·

·

+

·

Peucedanum terebinthaceum

·

+

·

·

Isodon japonicus

+

2

2

-

Phtheirospermum japonicum

·

+

+

·

Rubia akane

+

·

·

·

Patrinia scabiosaefolia

·

·

·

-

Eupatorium lindleyanum

·

+

·

·

Erigeron canadensis

+

·

+

·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1

+

·

·

A. lavandulaegolia

·

·

+

·

Lactuca indica var. laciniata

·

+

·

·

Total number of species

33

33

28

26


 

    本 調査地에서 出現한 總 植物種數는 60種이며, 미선나무외에 常在度가 V인 植物은 개암나무, 신갈나무, 참싸리, 광대싸리, 졸참나무, 노박덩굴 이었으며, 常在度 IV인 植物은 국수나무이었다. 한편, 草本으로서 常在度 V인 植物은 실새풀, 개밀, 기름새, 닭의장풀, 방아풀, 담쟁이덩굴이고, IV인 것은 고사리, 강아지풀, 마, 개머루이었다. 이외에도 떡갈나무, 좀깨잎나무, 나도송이풀 등도 많이 出現하고 있다.


      이 地域에 미선나무가 어느정도의 密度로 分布하고 있는가를 조사하여 密度 分布度를 만들어 보았다(Fig.2).

 

 

兩 地所에서 똑같이 사면의 아랫쪽에서 높은 密度를 보이고 있으며, 송덕리에서는 위쪽에서 드물게 미선나무가 出現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율지리의 미선나무 自生地의 總 面積은 288㎡로 이 面積에 대한 미선나무의 占有率은 98.6%를 차지하고 있으며 각 방형구당(2×2m), 1∼4개체의 占有率은 47.2%, 5∼9개체는 43.1%, 9개체 이상의 占有率은 11.1%이었다.


    한편, 송덕리의 경우 總面積은 1,520㎡이며, 미선나무의 점유율은 32.4%이었다. 32.4%의 占有率 중에서 1∼4個體의 점유율은 28.9%이며, 5개체 이상은 3.4%의 占有率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密度가 낮은 곳에서는 Random분포를 하고 높은곳에서는 집중분포를 하고 있다. 이것은 棲息地가 사력 또는 전석지의 특징에 의해 나타난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미선나무가 생육하고 있는 곳의 토성(Soil texture)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는 Table 21과 Fig.3에 나타내었다.

 

 

율지리에서는 점토 6.56%, 미사 63.75%, 세사 18.39%, 조사 11.56%로 나타났으며 송덕리에서는 점토 8.99%, 미사 60.47%, 세사 21.30%, 조사 9.23%로 나타났다. 두 地所의 土性을 보면 모두 微砂質壤土(Silt loam)이었다.(강 1990).


           ② 망개나무 (Berchemia berchemiafolia)


    망개나무는 1935년 忠淸北道 俗離山 溪谷에서 처음 發見된 이후 1959년 경상북도 청송군 周王山과 내연산 보경사 부근에서, 1970년 충북 괴산군 청천면 사담리부근에서, 1979년 역시 충북 괴산군 사담리와 조령의 전석지에서 자생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충북의 망개나무 自生地는 天然記念物 제 207, 제 266, 제 337호로 지정보호되고 있다.


Table 22에서 보는 바와 같이 喬木層에는 졸참나무, 소나무, 굴참나무 등이 相在度 Ⅲ∼Ⅴ로 優占하고 있고, 기타 물푸레나무, 고로쇠나무, 팽나무, 들메나무, 느티나무, 신갈나무, 벚나무 및 굴피나무 등도 喬木層을 형성하고 있다.


    亞喬木層에는 생강나무, 비목나무 등이 높은 相在度로 出現하며 冠木層에는 생강나무, 작살나무, 비목나무, 조록싸리, 난티잎개암나무 등이 그리고 草本層에는 생강나무, 담쟁이덩굴, 둥글레, 기름새, 산거울, 조록싸리, 작살나무, 주름조개풀, 비목나무, 물푸레나무, 화살나무, 졸방제비꽃, 붉나무 및 알록제비꽃 등이 相在度 Ⅲ以上으로 出現한다.


    이와 같이 망개나무林의 植生組成을 보면 들메나무, 졸참나무, 느티나무, 물푸레나무 등이 喬木層에 함께 출현하는 것으로 보면 이 지역이 비교적 습한 지역으로 생각되나 굴참나무, 소나무, 굴피나무 등이 높은 相在度로 出現하는 것을 보면 건조한 곳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망개나무林의 植生組成에 의해서 판단해 보면, 망개나무는 습하면서도 건조한 그리고 토양기질이 불안정한 곳에 棲息한다고 생각된다(강, 김, 1989).


3. 요약


忠淸北道는 한반도의 中央에 位置하고 있고 總面積은 7,436.88㎢로서 南韓의 全面的의 3.38%에 불과한 작은 道이다. 本 調査地인 淸州市와 淸原郡은 西部低地에 槐山郡은 中央丘陵地에 位置하고 있다.


    淸州市의 面積은 119.01㎢, 淸原郡의 面積은 835.39㎢ 그리고 槐山郡의 面積은 936.98㎢이다. 本 地域의 林相別 林野面積은 3個 市郡에서 針葉樹林이 61,711ha, 闊葉樹林이 11,948ha 그리고 混合林이 43,133ha로서 針葉樹가 단연 넓은 面積을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本 調査地에서 出現하는 群落은 소나무 群落, 상수리나무 群落, 졸참나무 群落, 가침박달 群落, 굴참나무 群落, 소나무-굴참나무 群落, 소나무-졸참나무 群落, 소나무-상수리나무 群落, 신갈나무 群落, 굴참나무-소나무 群落, 굴참나무-신갈나무 群落, 신갈나무-철쭉꽃 群落, 억새 群落, 미선나무 群落 및 망개나무 群落 등 15개의 自然群落을 확인할 수 있었고, 植栽林으로서는 리기다소나무 群落, 일본잎깔나무 群落, 잣나무 群落을 확인할 수 있었다.


    他 地域에 比하여 群落이 單純한 것은 淸州라는 큰 都市를 中心으로 人口가 많고 따라서 人間의 于涉이 深했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그러나 淸州市 명암동의 가침박달 群落은 分布의 南韓이기 때문에 잘 保護해야 하겠다.


    또한 槐山郡에 自生하는 미선나무 群落과 망개나무 群落은 稀貴食物로서 이미 잘 알려진 것이기 때문에 지금도 保護가 되고 있지만, 점점 環境의 汚染과 特히 酸性雨(Acid rain)의 被害가 있을지도 모르므로 더욱 管理와 保護에 愼重한 關心을 가져야 하겠다.


    이러한 集團的인 큰 群落外에도 天然記念物이나 道, 市, 郡의 保護樹들도 하나하나 관심을 갖고 보호에 노력을 기울여야 할것으로 생각된다.



參 考 文 獻


강상준. 김홍은. 이희선, 1988. 충북의 自然 식물편. 충청북도교육위원회. p.371


강상준. 김홍은, 1989. 망개나무林의 分布. 構造 및 유지기작에 關한 生態學的硏究. 충북 대학교 自然科學硏究. 3(2) : 123-146


강상준, 1990. 미선나무숲의 構造와 繁殖 Pattern에 관한 生態學的 硏究. 김철수 敎 授 回甲記念論文集. p.377-391


괴산군, 1987. 통계연보. 괴산군. p.367


김혼은, 박승룡, 1979. 속리산 식물분포. 충북대학교 논문집. 18:283-292


나기창, 이창진, 최병렬, 1986. 충북의 자연. 지질광물자원편. 忠淸北道 敎育委員會 p.271


백승언, 김홍은, 1977. 月岳山 植物分布 조사 硏究. 충북대학교 論文集. 17:77-88


백원기, 1988. 한국산 댕강나무屬의 分類學的 硏究. 강원대학교 碩士論文. p.33


양인석, 1979. 月岳山 및 주홀산 一帶의 쌍자엽(초본)상. 한국자연보존협회. 조사보 고서. 15:77-90


이덕봉, 1957. 俗離山 植物誌. 고려대학교 문리논총. 4:1-51


이영노, 오용자,1979. 주홀산, 月岳山의 단자엽식물조사. 한국자연보존협회 조S사보고 서. 15:91-98


이영노, 김남숙, 1988. 민주지산일대의 식물상. 한국자연보존협회 조사보고서. 26:


이창복, 1978. 월악산 및 조령계곡의 목본식물상. 주홀산 및 월악산 일대 종합 학술 조사 보고서. p.57-76


이창복, 조무연, 1988. 민주지산의 특산 및 희귀식물. 한국자연보존협회 조사보고서. 26:


정태현, 이우철, 1961. 충북식물조사연구. 성균관대학교 논문집. 6:229-289


청원군, 1989. 통계연보. 청원군. p.363


청주시, 1989. 청주통계연보. 청주시. p.399


Yim, Yang Jai and T. Kira(1975) : Distribution of forest vegetation and climate in the korean peninsula. I. Distribution of some indices of thermal climate. Jap. J. Ecol. 25 (2) : 77-88



Yim, Yang Jai(1977) : Ibid. Ⅱ. Distribution of tree species along the thermal gradients. Jap. J. Eco. 27:177-189 


 

괴산군의 식생(2001).hwp
1.22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