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학지식>
http://kdaq.empas.com/koreandb/history/kpeople/person_view.html?n=11314&in=30911#his
김시습(金時習)
김시습(金時習)
1435(세종 17)∼1493(성종 24). 조선 초기의 학자이며 문인, 생육신의 한 사람. 본관은 강릉. 자는 열경(悅卿), 호는 매월당(梅月堂)·청한자(淸寒子)·동봉(東峰)·벽산청은(碧山淸隱)·췌세옹(贅世翁), 법호는 설잠(雪岑).
1. 가계·성장기 |
그의 〈상유양양진정서 上柳襄陽陳情書〉를 비롯하여 《매월당집》의 윤춘년(尹春年)의 전기(傳記), 이이(李珥)의 전기, 이자(李耔)의 서문(序文), 그리고 《장릉지 莊陵誌》·《해동명신록》·《미수기언 眉叟記言》 등의 자료에 의하면, 그의 선대는 신라 알지왕의 후예인 원성왕의 아우 주원(周元)의 후손이고, 그의 비조(鼻祖)는 고려시대 시중을 지낸 연(淵)·태현(台鉉)이라 한다.
|
2. 유랑행적 |
21세 때 수양대군(首陽大君)의 ‘왕위찬탈’ 소식을 듣고, 보던 책들을 모두 모아 불사른 뒤 스스로 머리를 깎고 산사를 떠나 전국 각지를 유랑하였다. 김시습은 이때까지 사부학당(四部學堂)에 입학하지도 않고 과거에도 응시하지 않았는데 본시 벼슬길에 뜻이 없었거나 아니면 문지(門地)로 보아 그의 할아버지나 아버지가 무인(武人)이었던 까닭에 사회적 진출이 어려울 것이라는 판단이 작용한 듯하다.
|
3. 시편창작활동 |
그러나 그해 다시 효녕대군의 추천으로 원각사(圓覺寺)의 낙성회(落成會)에서 찬시(讚詩)를 바친 점 등으로 미루어 세조 개인에 대해서는 그렇게 노골적인 반감이나 불만을 가지지 않았던 것 같다.
|
4. 인생편력 |
10대에는 학업에 전념하였고, 20대에 소오산수(嘯傲山水)하며 천하를 돌아다녔으며, 30대에는 고독한 영혼을 이끌고 정사수도(靜思修道)로 인생의 터전을 닦았고, 40대에는 더럽고 가증스러운 현실을 냉철히 비판하고 행동으로 항거하다가 50대에 이르러서는 초연히 낡은 허울을 벗어버리고 정처없이 떠돌아다니다가 마지막으로 찾아든 곳이 충청도 홍산(鴻山) 무량사(無量寺)였다. 이곳에서 59세의 나이로 병사하였다.
|
참고문헌 |
梅月堂集, 梅月堂集解題(崔珍源, 成均館大學校大東文化硏究院, 1973) 韓國儒學史略(李丙燾, 亞細亞文化社, 1986) 金時習硏究(鄭炳昱, 서울大學校論文集 人文社會科學篇, 1958) 金時習의 佛敎觀(鄭鉒東, 慶北大學校論文集 6, 1962) 金時習의 鬼神觀과 道敎觀(鄭鉒東, 趙潤濟博士回甲紀念論文集, 新雅社, 1964) 金時習의 文集과 著述(鄭鉒東, 慶北大學校語文論集 2, 1964) 金時習攷(林憲道, 人物韓國史, 博友社, 1965) 金時習(鄭炳昱, 韓國의 人間像, 新丘文化社, 1967) 金時習論(閔丙秀, 韓國文學作家論, 螢雪出版社, 1977) 梅月堂의 詩世界(閔丙秀, 서울大學校人文論叢 3, 1978) 金時習의 政治思想의 形成過程(金鎔坤, 韓國學報 18, 一志社, 1980). |
'세상 이야기 >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 근현대사 논쟁, 어떻게 볼 것인가(신동아 569호) (0) | 2007.03.03 |
---|---|
안병직 교수 제자의 ‘식민지 근대화론’ 비판(허수열, 신동아 569호) (0) | 2007.03.02 |
[잃어버린 발해사를 찾아] <7> 발해 왕족과 귀족들의 무덤-육정산 고분군(부산일보 070224) (0) | 2007.02.26 |
총체적 열매로 다시 태어난 ‘조선왕조’(강대신문 060927) (0) | 2007.02.11 |
“조선 창업, 한반도의 자생적 산물 아냐” 윤은숙박사 논문 논란 예상(조선일보 060904) (0) | 2007.0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