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신문> 2007-03-12 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070312018004&code=seoul&keyword=괴산
[오지로 떠나는 시간여행] (17) 충북 괴산 갈론마을 | ||||||||||||||||||||
“겨울엔 따솜 따솜 여름엔 서늘 서늘/태고의 자연과 벗하며 사노라니 마냥 좋아라/평평하고 하이얀 암반은 채소밭 하면 안성맞춤/청산은 겹겹이 높이 솟아 담장이어라.” 지난 7일 충북 괴산의 갈론마을을 찾았다. 마을 어귀 바위에 새겨진 시구가 방문객을 반긴다. 아마도 저 옛날 한양을 떠나 깊은 산골짜기에서 후반기 인생을 시작한 선비가 복잡한 속세를 벗어나 안분자족하는 자신의 삶을 읊은 노래이리라.
마을 이름 자체가 귀거래사로 유명한 중국의 시인 도연명(陶淵明·365∼427)의 오류선생전(五柳先生傳)에서 유래됐다고 한다. 즉 갈천씨지민(葛天氏之民 욕심없이 순박한 사람, 이상 세계의 백성)들이 은거하여 사는 마을이란 뜻이란다. 당초 칡이 많이 우거져서 은거하기 좋은 곳이란 뜻의 갈은(葛隱) 마을이었으나 언제부턴가 갈론(葛論)마을로 바뀌었다고 한다.
괴산댐에서 칠성호를 오른쪽으로 끼고 도는 산길은 절기상 경칩이 지난 초봄인 데도 눈보라가 휘몰아쳤다. 마치 은둔지의 속살을 보여주지 않으려는듯. 칠성호를 사이에 두고 건너편으론 괴산댐이 세워지면서 육지속의 섬이 되어버린 산맥이(山幕)마을이 희미하게 보인다.4㎞정도 더 들어가자 ‘시골버스’도 들어가지 못하는 산골마을이 나타난다.
17가구 30여명이 사는 마을엔 꽃샘추위 탓인지 좀처럼 사람의 그림자도 찾아보기 어렵다. 마을회관에서 만난 이희재(78) 할아버지는 “한때는 74가구 400여명이 살았지만 화전(火田)정리작업으로 많은 화전민들이 떠나고 마을도 4개 반에서 1개 반으로 줄었다.”고 한다.
마을로 올라가자 민속마을에서나 볼 수 있는 초가가 나타났다.4대를 내리 이곳에서 살았다는 이은득(69) 할아버지의 집이다. 해마다 이엉을 올리고 외지인들이 오면 머물게 하는 걸 큰 기쁨으로 여긴다며 넉넉한 인심을 느끼게 한다.
부산에서 20년 도시생활을 청산하고 마을에 정착한 지 40년째라는 김종열(64) 이장. 살을 에는 듯한 새벽추위에도 불구하고 아궁이에 장작불을 지피면서 쇠죽을 끓인다.
“애써 지은 농사가 엉망이야. 멧돼지와 고라니, 너구리들이 마구 나타나서 수확을 못할 지경이야.”김씨는 국립공원 지정으로 수렵이 전면금지되면서 야생동물보다 사람이 더 홀대 받는다고 불만을 털어놓는다. 산수가 뛰어나고 인심이 좋다지만 산비탈 곳곳에 빈 집터와 묵은 밭 계곡을 따라 띄엄띄엄 남아 있는 화전민들의 흔적은 갈론마을의 쇠락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한때 60명이나 되었던 외사국민학교 갈론분교에는 아이들의 웃음소리가 끊긴 지 오래다. 잡풀과 ‘이승복동상’만이 쓸쓸히 이곳이 학교였음을 일러준다.
청주 생활을 접고 정착 2년째를 맞는 김영언(64)씨는 등산과 낚시를 하기 위해 갈론마을을 찾았던 인연으로 마을주민이 된 사람이다. 산과 물과 사람이 좋은 이곳에서 마을의 작은 일에도 기꺼이 나서며 여생을 보내기로 했다고 마을 자랑에 끝이 없다.
높은 산과 깊은 계곡에 묻혀 산천의 아름다움을 노래한 선인(仙人)을 닮은 사람들.
산골의 섬에서 봄이면 농사를 시작하고, 가을이면 송이버섯과 꿀을 채취하며 살아가는 갈론마을사람들. 최근 들어 여름 한 철 오지를 찾는 휴가객들로 붐빈다지만, 무릉도원이고 별천지라고 노래한 옛 선비의 시구가 귓전을 떠나지 않는다.
글 사진 김명국기자 daunso@seoul.co.kr
기사일자 : 2007-03-12 18 면 |
'괴산 이야기 > 괴산 관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삶의 평화를 실천하며 사는 충북 괴산 평화원(오마이뉴스 070523) (0) | 2007.06.19 |
---|---|
괴산 용추폭포와 용추골, 사기막골과 옥녀봉 (0) | 2007.05.24 |
[스크랩] 사랑산을 찾아가다. (0) | 2007.05.20 |
[스크랩] 선유구곡과 갈모봉을 찾아가다. (0) | 2007.05.20 |
생명평화탁발순례단을 길에서 맞고 보내다(오마이뉴스 070512) (0) | 2007.05.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