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종교사상 이야기/함석헌118

사건사로 재구성한 함석헌 일대기(교수신문 030111) 교수신문 http://www.kyosu.net/news/articleView.html?idxno=3476 사건사로 재구성한 함석헌 일대기 2003년 01월 11일 (토) 00:00:00 교수신문 webmaster@kyosu.net 한일합방을 겪다 1901년 3월 13일 평안북도 용천군 부라면 일명 獅子섬이라 불리는 곳에서 한의사인 아버지와 평범한 어머니의 맏아들로 태어났다. 함석헌의 가정형.. 2006. 12. 15.
[좌담]함석헌의 삶과 사상을 어떻게 볼 것인가(교수신문051019) 교수신문 http://www.kyosu.net/news/articleView.html?idxno=8406 좌담: 함석헌의 삶과 사상을 어떻게 볼 것인가 哲學者로 본격 조명 필요 … 行動 정신 계승해야 2005년 10월 19일 (수) 00:00:00 김용준 교수 외 editor@kyosu.net ▲김용준 교수.“자꾸 무교회주의에 초점을 맞출 게 아니라 함석헌 사상의 전모를 봐야 합니다. .. 2006. 12. 15.
함석헌과 간디(허우성) 씨알사상연구회 월례발표회 2005년 7월 함석헌과 간디 함석헌과 간디-1 종교 없는 민중은 씨이 아니고, 붉은 함성은 씨의 소리가 아니다: - 허우성 교수 - 1. 깊고 오랜 기억 사람은 가고 기억과 글은 남는다. 남은 자는 떠난 사람을 기억하거나 쓴 글을 읽음으로써 그 사람을 해석한다. .. 2006. 12. 15.
[인터뷰] '함석헌 평전을 쓴 이치석(카툰저널 News TOON) 내가 읽은 함석헌을 그렸다. [인터뷰] '함석헌 평전'을 쓴 이치석 박세열 함석헌 선생의 평전을 쓴 이치석 선생님을 만나봤다. 이치석 선생님은 70년대 말부터 교직에 몸담으며 당대의 여러 사건들을 직접 몸으로 겪었고, 눈으로 봐온 분이다. 우리나라 교육계와 교육 조직에 대해서도 강도 높은 비판을.. 2006. 12.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