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5366 로즈마리 류터의 생태여성신학 /?? 로즈마리 류터의 생태여성신학 ▨ 목차 ▧ 1.들어가는 말 2.생태학적 신학의 태동 3.생태여성신학 1)생태학과 여성학의 만남 - 에코페미니즘 2)에코페미니즘과 신학의 만남 - 생태여성신학 3)생태여성신학의 다양한 조류들 4.로즈마리 류터의 생태여성신학 1)인물소개 2)류터의 생태학적 인식 3)이원론적 .. 2006. 12. 12. 생태적 삶, 에코페미니즘, 새로운 문명 /하정남 <환경과 생명> 제27호(제8권2호) [2001년 봄] pp. 50~65 생태적 삶, 에코페미니즘, 새로운 문명 하정남 / 영산원불교대 원불교학부 교수 1. 생태 위기의 근원적 치유책 경제적․정치적 욕심으로 인한 자연의 과도한 개발 문제가 제기되고 있으면서도, 지방자치제가 실시되면서 지역 경제를 증진시킨다는 .. 2006. 12. 12. 여성주의 관점에서 본 생명 /허라금 <한국생명학연구원> 2005/10/4(화) http://www.oikozoe.or.kr/bbs/read.cgi?board=data&y_number=64&nnew=2 여성주의 관점에서 본 생명 "life", view from feminist perspective 허라금 교수(이화여대 대학원 여성학과) 1. 들어가는 말 2. 여성주의적 관점에서 본 서구의 ‘생명’ 비판 3. 남성중심적 의료ㆍ생명과학 4. 나가는 말 ABSTRAC.. 2006. 12. 12. 생태여성주의 평가와 전망 /한면희 <한국생명학연구원> 2004/12/30(목) http://www.oikozoe.or.kr/bbs/read.cgi?board=data&y_number=20&nnew=2 생태여성주의 평가와 전망 한면희 (녹색대학교 교수) 1. 생태주의의 눈 오늘날 인류가 직면한 환경 문제를 해결 차원에서 대처하려는 시각을 편의상 둘로 구분할 수 있다. 하나는 보수적 태도를 취하는 접근이고 .. 2006. 12. 12. 이전 1 ··· 1315 1316 1317 1318 1319 1320 1321 ··· 134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