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IN>
http://www.sis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4765
자연을 존중한 생산 책임을 동반한 소비
| |||
프랑스에서 지역 농부와의 직거래로 농부를 돕고 신선한 농산물을 공급받는 대안적 소비인 아마프 운동이 널리 퍼지고 있다. ‘자연과 조화를 이루며 소비하는 삶’인 아마프 운동의 현장을 취재했다. | |||
|
아마프 운동으로 선 장에 나온 채소는 비뚤어진 호박 등 자연 그대로의 모습을 하고 있다. |
길 한 모퉁이에 30여 명이 웅성거리며 누군가를 애타게 기다린다. 약속 시간 6시를 넘기고 30분이 지났기 때문이다. 얼마 후 기다리던 트럭이 도착했다. 트럭 안에는 갖가지 채소를 담은 상자가 가득했다. 기다리던 사람들은 채소 상자를 하나씩 나르기 시작했다. 그들 가운데 긴 머리를 질끈 묶고 얼굴이 검게 그을린 중년 남자가 눈에 띄었다. 한눈에도 그가 농사꾼임을 알 수 있었다. 장 뤽 바스티앙 씨다. 그는 파리에서 140km 떨어진 파리 북쪽 지역 보베 근처에 사는 농부로 매주 이곳으로 직접 재배한 채소를 보급한다. 오늘 배급할 채소는 가지 샐러드 호박 근대 오이 양배추 등이다. 그런데 슈퍼마켓에서 볼 수 있는 규격화되고 미끈하게 잘빠진 형상이 아니다. 삐뚤하고 제멋대로 자란 채소의 모양이 오히려 파리지엔에게는 신기한 볼거리다.
아마프는 지역 농민을 지원하기 위한 협회다. 협회는 대형화·산업화한 농업 구조에서 소규모 생산자를 돕기 위해 직거래 시스템을 구축했다. 회원(소비자)은 6개월이나 1년 단위로 자신들이 소비할 채소 및 과일 값을 선불로 지불한다. 채소 배급은 보통 5월부터 시작해 12월까지 계속된다. 가격은 바구니 종류에 따라 다른데 바구니당 보통 16유로, 반 바구니는 8유로다. 선택한 바구니와 기간에 따라 계산된 회원들의 선금은 지역 농부들에게 일정한 수익금으로 투자되어 농산물의 안정적인 생산을 돕는다. 소비자들은 그 대가로 매주 신선한 채소를 먹을 수 있다.
“아마프는 상업적 소비가 아니다”
아마프의 운영은 지역 단위로 이뤄진다. 지역 그룹별 아마프 회원은 근교 생산자와 직접 계약을 맺는다. 계약 내용을 보면 채소는 매주 같은 시간대, 같은 장소에서 배급돼야 한다. 채소 바구니 구성은 소비자가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생산자가 결정하며 살충제, 유전자 조작(GMO)을 사용하지 않는 유기농 제철 상품이다. 이 시스템은 1950년대 일본에서 시작돼 2000년대부터 프랑스에서도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현재 프랑스 지역별 그룹 아마프 수는 1200개. 그 중 파리지엔의 참여가 가장 활발하다.
위는 아마프에 채소를 공급하는 농부 장 뤽 바스티앙 씨. |
자연에 가까운 소비에도 관심이 많다. 특히 지역에서 생산된 제품을 소비한다는 점이 중요하다. “유기농 매장에서 본 상품의 원산지가 프랑스에서 먼 나라였다. 그렇다면 유기농의 의미가 없지 않은가”라는 제라르 씨의 지적은 그래서 수긍이 간다. 아마프가 주는 또 다른 즐거움은 잊어버린 채소를 발견하는 것이다. 한동안 식탁에서 사라졌던 돼지감자, 검은 무, 야생 당근 등은 아마프를 통해 새롭게 돌아왔다.
농업국가였던 프랑스에서 1950년대만 해도 농장 경영자는 230만명이었다. 그러나 지금은 50만명으로 줄어들었다. 반면 이들의 경작 규모는 대규모이다. 농업의 산업화·대량화는 필연적으로 유해한 농약 사용, 불필요한 운송 비용 등 많은 문제점을 낳고 있다.
그래서 아마프의 자연을 존중하는 생산과 책임감을 동반한 소비에 대한 접근은 신선하다. 그것은 물질적 풍요 속에서 불필요한 소비가 불러오는 빈곤한 삶이 아니라 자연과 조화를 이루며 소비하는 풍부한 삶의 방식이 아닐까?
------------------------------
“아마프는 잘 소비하기 운동” |
아마프 자원봉사자 장 뤽 씨 인터뷰 |
아마프 활동을 하면서 얻은 것은 무엇인가.
아마프 운동은 작은 흐름에 불과하지만 좀 더 나은 소비에 대한 문제의식을 공유하는 시발점이다. 이제 우리는 많이 소비하기보다 필요에 따라 잘 소비하는 데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그렇다고 아마프만 고집할 만큼 극단주의자는 아니다. 아마프에서 살 수 없는 물건은 슈퍼마켓이나 시장에서 구매한다. 비행기 타고 온 파인애플도 가끔 먹는다.
농부에게는 안정적인 재정이 확보되고 소비자에게는 믿을 수 있는 먹을거리를 얻는다는 점에서 아마프를 희망하는 사람이 많을 거 같다.
그렇다. 농부도 아마프에 참여하기를 희망하고 파리 지역 주민의 요구도 많다. 문제는 파리의 경우 근교에 농사 지을 땅이 부족하다는 점이다. 160km 이상 떨어진 곳에서 생산된 농산품을 보급하는 건 아마프의 정신에 맞지 않는다. 얼마 전 파리와 파리 근교 고등학교에서 학교 급식 20%에 유기농 채소를 사용한다고 결정을 내렸다. 그런데 파리 근교에 유기농 채소를 경작할 땅이 부족해 결국 다른 지역의 채소를 가져와야 할 상황에 있다. 아마프가 겪는 문제와 같은 맥락이다.
'삶의 이야기 > 생태환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조원 ‘돈 삽질’의 비밀 (시사IN 제95호) (0) | 2009.07.18 |
---|---|
[스크랩] 70년만의 폭우 4대강사업 홍수예방없음을 증명하다. (0) | 2009.07.17 |
‘운하’ 불씨는 품은 채 ‘4대강’ 밀어붙이기 (경향신문090629) (0) | 2009.06.29 |
4대강사업은 무늬만 녹색성장 (위클리경향 830호) (0) | 2009.06.20 |
4대강 설치 보 “어디에 쓰는 물건인고?”(위클리경향830호) (0) | 2009.06.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