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농사 이야기/농사정보

야콘 농사일기

by 마리산인1324 2007. 4. 7.

 

http://cafe.daum.net/woridul

 


야콘 농사일기

2006년 3월 별이네 야콘 농장에서 보내주신
야콘 구근 5 kg
 
어떻게 키워야 할지
이곳저곳 뒤져가며 연구........

 
 
3월 중순
2kg용 스티로폼 박스10개에 종근을 나누어 넣고  
상토를 덮고 물을 흠뻑 먹여  방에 들여놓음

4월초~
매일 분무기로 상토가 마르지 않도록
관리를 해 주니 구근에서 야콘 싹이 올라오기 시작했다.

 
또다른 스티로폼 박스에
야콘 뿌리 상하지 않도록 잘라서 상토넣고 가식


 
1주일 정도 지난 후
뿌리가 재법 실하게 뻗으면
종이컵에 이식을 한다
이때도 될 수있으면 상토 또는 상토8/거름2 를 혼합한 흙을 사용 한다.


 
4월 초 전주에 장애인 시설인
진달내집에서 주신 야콘 5 kg 이다.
이번에는 방법을 달리하여
비닐 하우스안에 직접 파종을 하였다.
일주일에 한번   농장에 들러 자란 싹을 이식했다.
농장일이 산적해 있는데 가만히 앉아서 이식을 하려니
시간이 많이 소요되었다.
 
그래서 중간에 다시 뽑아서 집으로 가져왔다.
낮에는 직장생활에... 저녁에는
밥먹고 할일없이 빈둥되느니 자라나는 싹이 보이면
수시로 이식을 하니 짜투리 시간이지만
그만큼 시간이 절약 된다.

 
내가 살고 있는 전주의 원룸은
내가 누울 자리 이외에는 모두 푸르른 야콘밭이며,
여러가지 호박들의 육묘장이 되었다.
 
일주일동안 이식해 놓은 모종은 토요일 농장에 내려갈 때
가져가서 비닐 하우스에서 따듯한 햇볕받으며 잘 자라준다.
 
야콘 종근 10 kg 에서
모종 1,500 주 이상 생산되었다.
1kg의 구근에서 150개 이상의 모종을 생산했는데
다른 어느 야콘관련 글에도 1kg에 20~50개의 모종을 얻을 수 있다고
나와있는데......
야콘종근 10 kg 이면  200 평 이상 정식이 가능하다고 본다. 
 
5월 7일  일요일
야콘 200 주가  희망터 본밭에 정식 되었다.
한골에 포대거름 5포대(100kg)를 넣고 로타리 치고
이랑을 두둑하게 만들고 검정비닐멀칭을 치고 정식
어제 비온 뒤라서  땅은 촉촉히 젖어 정식할 때
물을 주지않아도 될듯하다.
 
야콘 모종이 순차적으로 길러졌기 때문에
본옆이 실하게 자란 포기부터 정식을 했다.

20 미터 비탈 황토 밭이기에 배수가 잘 되고
땅은 보슬보슬 고구마 농사가 잘 되는 땅이다.
20미터짜리 20 고랑을 순차적으로 정식 하려고 한다.
총 400 미터....
 
올해는 기대가 되는 작물들이 많다...
욕심이 기대에 못미쳐도 실망하지 않으려면
먼저 식물을 내 가족처럼 사랑해야겠다.
 
2006년 10월 29일

비탈밭이라서 아래쪽의 생육상황은 좋았으나
상부로 올라갈 수록 가뭄탓으로 인한 생육이 부실함

 
2006년 10월 29일 첫 수확
첫 뿌리를 캐는순간
혹시나 하는 긴장감이 사라지고 튼튼하게 매달린 야콘 뿌리가 뽑혀서
기분좋은 시험수확이다.
바닥 비닐 멀칭을 해서 큰 힘 들이지 않아도 뽑혀진다.
희망터 바로 윗밭이 나눔터인데 올해 그곳에
고구마 600 평을 맷돼지에게 습격당했지만 야콘밭에는
맷돼지 피해가 없다.
내년에는 이곳 산 중턱밭 전부 야콘을 재배해야겠다.


수확량
200 포기(2 이랑)
상품(20~30 cm) : 20kg
중품(15cm 내외) : 40kg
하품(10cm 이하) : 20kg
 총 :80 kg
뇌두 : 30kg정도

구근이 실하게 달린 포기는 뇌두가 작지만
비탈밭 상부로 갈수록 구근은 작았으며 
뇌두는 생강처럼(아래사진) 튼튼하게 자랐다.  

정리된 뇌두
이 뇌두를 겨울동안 보관하는 일이 관건이다.

부산물인
야콘잎 8kg 과 야콘 하품 10 kg을
깨끗히 정리하여 설탕 15kg을 넣어 야콘 효소를 담금
 
야콘은 뿌리부터 줄기, 잎  어느 하나 버릴것이 없는 식물이다.
다음주에는 나머지 12 이랑을 전부 수확할 예정이다.
 

      야콘은 달고 맛이 있으며 식이섬유질 저칼로리 알카리성 농산물입니다.

야콘 요리

    야콘을 그냥 생식으로 과일처럼 깍아서 드시면 제일 좋다

            후     식: 식사를 하고 난 뒤 야콘을 깎아서 50g 정도 먹으면 입안이 개운하다

            술 안주 : 술상에 안주로 올리면 간단하면서도 효과적인 술안주가 된다.

                         야콘색이 변하지 않게 하려면 냉수나 설탕물에 담갔다가 바로 꺼내면 된다.

 

    각종찌개: 각종 생선 찌개에 무, 연근, 감자, 당근 대신 넣어서 조리하면 비린내가 없어지  개운한 것이 특징이며 오랜 시간               이 지나도 야콘 형태와 향을 그대로 지닌다.

    물김치 : 깍두기, 채나물, 김치 속 등에 무와 같은 방법으로 만들면 더욱 감칠맛을 낸다.

    부침개 : 야콘을 잘 씻은 다음 믹서기나 강판에 갈아서 밀가루나 녹두가루에 물 대신 야콘 간 것을  넣고 갖은 양념을 한

                     다음 부침개를 만든다.

    사라다 : 야콘을 물에 씻어 껍질을 깍은 후 모양 있게 썰어 즉시 소금물에 담갔다가  바로 꺼내어  마요내즈에 버무려 사라               다를 만든다.

    국   수 : 야콘을 물에 씻어 믹서기로 간 다음 밀가루를 야콘즙으로 반죽해서 국수를 만들면 생밀가루가 없어지고 맛이 더             욱 쫄깃해진다.

    수제비 : 야콘을 믹서기로 갈아서 미가루 반죽을 묽게 하여 수제비국을 만들면 쫄깃하고 달아  색다른 맛을 낸다.

    튀   김 : 야콘을 모양있게 썰은 다음 계란, 밀가루, 빵가루 등을 입힌 후 식용유 (200℃)에 튀긴다.

    야콘술 : 야콘을 깨끗이 씻은 다음, 물기를 없애고 유리 항아리에 넣고 소주를 채워부은 다음 5일 후면 색깔과 향기가

                    좋으며 알콜 농도가 낮아진다.

    돼지고기 볶음 : 돼지 고기(삼겹살 )를 볶을 때 불판위에 얇게 썬 야콘을 놓은 다음, 가열시킨 후 고기를 넣고 뒤집어 주면             서 구우면 기름이 흡수되면서 고기가 고들고들해지며 비린내가  없어져 진미를 느낄 수 있다. 또한 육류를 사용하              는 각종 찌개에 야콘을 넣으면 기름기가  적어진다.(삶거나 구어먹는다)

    야콘즙과 요쿠르트와 섞어 먹는다(1:2), 야콘즙과 우유와 섞어 먹는다(1:1)


------------------------------------------------------------------------------
 

세계에서 가장 많은 올리고당을 함유한 야채

 

리나라도 점점 평균수명이 늘어 나고 있습니다. 이것은 의학의 진보 덕분이지만 식생활과 영양상태의 개선도 장수에 도움이 되고 있다고 생각됩니다.

이 정도로 장수하게 되었어도 '더 오래 살고 싶다'는 것은 모두의 염원입니다. 최근에는 '건강하게 사회에 폐 끼치지 않고 오래 살고 싶다.'라는 관점에서 건강을 생각하는 사람도 증가하고 있습니다. 포식시대라고 일컬어지는 현재, 우리들은 맛있는 것과 구미에 맞는 가공된 것을 먹어 자칫하면 과식하거나 치우친 식생활을 하기 쉽습니다. 확실히 먹을 것에는 곤란하지 않은 유복한 시대를 맞이하고 있지만 얄궂게도 현대병. 생활습관병의 대부분 원인이 이러한 식생활의 치우침과 과식에 있다고 합니다.

 

지금부터 소개하는 야콘은,

이러한 생활습관 병을 천연의 힘으로 예방하고 개선해 주는 현대인에게 없어서는 안 될 야채입니다. 동물성 영양소를 많이 섭취하는 오늘날의 식생활이 원인이 되어 일어나는 현대병을 예방하는 것 외에 야콘이 지닌 기능성 성분은 매우 매력적입니다.

야콘이 지닌 기능성 성분의 하나가 프락토올리고당입니다. 올리고당을 많이 함유한 야채로서는 지금까지 우엉과 양파가 알려져 있습니다. 그런데 최근 남미원산의 야채인 야콘이 올리고당의 왕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으며 기능성식물로서 각광을 받고 지금 주목을 끌고 있습니다.

야콘은 페루와 볼리비아의 안데스 지방이 원산지인 국화과 식물로 문헌적으로는 고대 잉카제국 또는 그 이전의 옛날부터 재배되어 식용으로 제공되어 왔습니다. 잉카문명시대 사람들은 이 식물을 매우 소중히 여겼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야콘은 도대체 어떠한 야채일까요? 지상부는 1.5-2m정도의 높이로 성장하고 해바라기 같이 커다란 잎이 나며 가을에는 국화와 닮은 꽃을 피웁니다. 지하부에는 고구마 생김새의 괴근(뿌리)을 10-20개 맺습니다.  주로 먹는 것은 이 괴근부로 여기에 프락토올리고당이 많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지상부의 잎도 옛날부터 차로써 이용되었던 모양입니다.

야콘은 아직 우리에게 친숙하지 않은 야채이지만 칼로리도 낮고 다이어트 식품으로서도 뛰어납니다. 일본 식품센터의 분석결과에 의하면 식용으로 하는 야콘 괴근부의 칼로리는 가식부 100g당 54칼로리입니다. 이것은 고구마(123)에 비해 절반이하이며 감자(77), 토란(70) 등에 비해서도 지극히 적습니다. 게다가 식물섬유도 많고 그 양은 전체의 2.5%에 달합니다.

야콘의 괴근부는 일견 고구마이지만 맛과 씹는 느낌은 전혀 다르며 생으로 먹으면 적당한 감미와 배처럼 사각사각 아삭아삭해 씹는 맛이 있습니다. 열을 가해 조리하면 연근 같은 맛이 나며 배.연근.무를 합쳐서 나누어 놓은 듯한 느낌입니다. 과일과 야채의 맛을 모두 지닌 신기한 식물입니다.

일본에는 공식적으로 1985년 뉴질랜드를 경유해  도입되었다고 합니다. 현재 일본 각지에 재배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야콘 주스와 야콘차가 판매되는 등 지속적으로 보급되고 있습니다.

표1-1과 표 1-2는 야콘 괴근부의 성분분석 결과입니다. 전체의 83%가 수분이며 고형분의 약 80%인 당질의 대부분은 프락토올리고당이 차지하고 있습니다. 고구마가 전분과 식물섬유로 되어 있는 것에 비해 야콘은 프락토올리고당과 식물섬유로 되어 있으며 전분은 거의 함유하고 있지 않습니다.

 

표 1-1 야콘 괴근부의 성분분석결과 <가식부(可食部) 100g中>

 

성분                   함유량(g)

수분

단백질

지방

당질

섬유

회분

83.1

1.0

0.1

13.8

0.9

1.1

 

    (에히메 공업기술센터에 의한 분석결과)


 

표 1-2 야콘 괴근부의 영양분 함유량 <가식부 100g中>

 

성분                   함유량(g)

식물섬유

폴리페놀

칼슘

마그네슘

칼륨

나트륨

베타카로틴

비타민B1

비타민B2

비타민C

  2.6g

203mg

  12mg

8.4mg

344mg

  34mg

0.2mg

0.4mg

130㎍

0.07mg

0.31mg

   5mg




 
출처 : 주말농장  |  글쓴이 : 수호천사카스 원글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