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종교사상 이야기/함석헌

노자31

by 마리산인1324 2006. 12. 19.

 

사단법인 함석헌기념사업회

http://www.ssialsori.net/data/ssial_main.htm

 

<함석헌 전집> 20권

 

노자 31장

 

 

군대란 좋은 일의 그릇이 아니다
夫佳兵者, 不祥之器


31.夫佳兵者, 不祥之器 , 物或惡之, 故有道者不處,  
    君子居則貴左, 用兵則貴右, 兵者不祥之器, 非君子之器,  
    不得已而用之, 괄淡爲上, 勝而不美, 而美之者, 是樂殺人,  
    夫樂殺人者, 則不可得志於天下矣,  
    吉事尙左, 凶事尙右, 偏將軍居左, 上將軍居右, 言以喪禮處之,  
    殺人之衆, 以哀悲泣之, 戰勝以喪禮處之.

  
군대를 잘 만들면 좋지 못한 그릇이므로 만물이 그것을 싫어하는 수 있다.  그러므로 도가 있는 이는 거기 있지 않는다.  어진 이는 평소에 있을 때는 왼편을 높이고 군사를 쓸 때는 오른편을 높인다.  군사란 것은 좋지 못한 그릇이지 어진 이의 그릇이 아니다.  마지못해 쓰는 것이므로 고요하고 맑은 마음으로 하는 것이 제일이요.  이기고도 아름답게 여기지 않는다.  그런데 그것을 아름답게 여기면 그것은 사람 죽이기를 즐겨하는 일이다.  사람 죽이기를 즐겨하는 사람이 천하에 뜻을 얻을 수눈 없을 것이다.  좋은 일에서는 왼편을 높이고 궂은 일에서는 오른편을 높이는 데 버금장군이 왼편에 서고 상장군이 오른편에 서는 것은 세력이 높은 자리에 있으면 사람 죽은 때의 예로 하고 있다는 뜻이다.  사람을 많이 죽였으니 슬프고 아픔으로 울어야 하고, 싸움에 이겼으면 사람 죽은 때의 예법으로 지낸다.
住 : 아름답다는 뜻.  여기서는 동사로 써서 아름답게 만든다는 뜻이다.  군대를 다듬어서         빛나게 높이 만드는 것은 좋은 일이 아니란 말이다.
物 : 하늘 땅 사이에 있는 모든 것, 만물 혹은 조물.
惡 : 음은 오, 미워한다, 싫어한다는 뜻.  군대를 번쩍번쩍하게 만들어놓으면 모든 것들이         혹은 세상이 그것을 싫어하는 수 있다.
或 : 꼭 갈라 말하지 않기 위해서 하는 말,  미워하는 수가 있다.
處 : 꼭 갈라 말하지 않기 위해서 하는 말.  미워하는 수가 있다.
괄 : 고요히 있는것.
澹 : 물이 맑아 가라앉은 것.
美 : 이긴 것을 잘한 일로 여겨 뽑내는 것.
樂 : 음은 요. 즐긴다는 뜻 仁者樂山 智者樂水 하는 때의 뜻과 같음.
尙 : 높인다는 뜻.
  
이것은 노자의 도덕경에 있는 한 장이다.  노자는 철저한 평화주의자다.  이 글은 군대에 대해서 한 말이다.
군대를 으리으리하게 만들어 세상에 행세하고 다니는 것을 보면 천지가 말은 아니하지만 어딘가 그것을 미워하는 것같이 보인다.  그러기 때문에 도를 가진 사람은 거기 있지 않는다.
군자,  점잖은 사람이 평시에 있을 때는 왼편을 높이 친다.  가령 예하면 남좌여우(남좌여우)라 해서 남자가 왼편에 서고 여자가 오른편에 서는 것 같은 것이다.  그런데 어떻게 돼서 군대를 움직이게 되면 그때는 평시와는 반대로 오픈편을 높인다.  이것은 군대를 좋은 것이 못된다는 증거다.  그러므로 어진이가 혹 군대에 관계하는 것은 마지못할 만한 일이 있어서 하는 것이지 거기 늘 있는 것은 아니다.

군대를 쓰는 것은 좋은 일이 아니고 마지못해 하는 것이므로 거기 어떤 욕심을 두지 않고 고요하게 가라앉은 마음으로 하는 것이 제일 좋은 방법이다.  그러므로 이기고도 뽐내지 않는다.
싸움에는 이기고도 감히 잘했노라, 좋은 일 했노라 자랑하지 않는 것이 도리인데, 그런데 그것을 잘한 일로 아는 사람이 있다면 그것은 사람 죽이기를 좋아하는 자이다.  왜? 전쟁을 하면 내편이건 네편이건 사람을 죽이게 되기 때문이다.  내편 네편 하는 생각을 그만두고 보면 사람 목숨의 귀한 것을 알 수 있는데 그 내편 네편 이런 생각 때문에 그 잘못을 한다.  내편 네편은 사람의 욕심이 만든 생각이지 근본 사람에 다름이 있을 리가 없다.  그러면 내편이 죽는 것이 아까울진대 저 편이 죽는 것도 아끼어야 할 것이다.  그러니 전쟁을 당연한 것으로 아는 것은 사람 죽이기를 좋아하는 것 아닌가?

사람 죽이기 좋아하는 사람이 천하에 뜻을 얻을 수는 없다.  뜻을 얻는다는 것은 천하 정치를 맡아 하게 된단 말이다.  사람은 누구나 다 목숨을 아까워하고, 그릇된 욕심에 잡히지 않는 한 남의 목숨도 아깝게 여긴다.  그것이 인간의 근본 천성이다.  그러므로 사람 죽이기를 꺼리지 않는 군인 정치를 좋아할 사람은 아무도 없다.  그러므로 그런 사람이 인심을 얻어서 천하를 다스리는 자리에 나아갈 수는 없다는 말이다.
이것은 옛날에 인심이 두텁고, 기계가 발달되지 않은 때의 이야기다.  사람들이 서로 천하에 한 번 나서서 일해보려고 경쟁을 해도 악독한 계책을 쓸 줄 모르고 실력대로 해서 민중의 판단을 기다려서 이기고 짐을 결정하던 때가. 그래서 인심이 천심이라고 했다.  지금은 기계 기술이 굉장히 발달됐으므로 얼마든지 거짓 선저을 할 수도 있고 교묘한 심리적 방법을 이용해서 남을 속일 수도 있기 때문에 소박한 인심이란 이미 바랄 수가 없게 됐다.

이 말은 맹자의 말과도 같다.  맹자가 양양왕(梁襄王)을 만났더니 왕이 묻기를, "세상이 어디 가서 결판을 납니까?" (天下惡于定)했다.  그때는 전국시대로 오랫동안 사람들이 전쟁에 지쳐 있었다.  그래서 임금이 묻는 말이었다.  그 질문에 맹자가 대답하기를 "하나에 가서 정해지지요"(定于一)했다.  그러니까 왕이 다시 묻기를 "누가 능히 하나를 합니까?" ( 能一之) 했다.  1지(一之)라 하면 하나를 한다 하는 말.  지(지)는 동사로 썼다.  거기 대해 맹자는 말하기를 "사람 죽이기 좋아하지 않는 이가 능히 하나를 할 수 있습니다" (不嗜殺人者能一之)라고 했다.  여기서 '기'(嗜)는 즐긴다는 뜻이다.  앞서 '요'(樂)와 같은 뜻이다.
'길사상좌 흉사상우(吉事尙左 凶事尙右), 좋은 일에서는 왼편을 높이치고 궂은 일에서는 오른편을 높이 친다.  길, 흉이 서로 반대된단 말이다.  그때 사회 풍속을 들어서 한 말이다.

그런데 옛날의 군대 안의 예법을 보면 버금가는 장군이 도리어 왼편에 서고 가장 높은 상장군은 오른편에 선다.  그러면 이것이 옛 사람이 군대나 싸움을 궂은 일로 알았다는 증거다.  이 점은 지금과는 정반대다.
왜 상장군이 도리어 평시로 보면 낮은 오른편에 서나? 그것은 사람이 큰 폭력을 쓸 수 있는 윗자리에 오르면 그것을 기쁜 일보다는 두렵고 조심할 일로 알아서 죽은 때의 상례와 같은 예로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왜 그러나? 사람을 많이 죽이지 않았느냐? 높은 장군 자리에 오르는 데는 사람을 많이 죽여야 되니, 그러니 무엇이 기쁘냐? 도리어 슬피 아피 울어야 할 것 아니냐?
당(唐)시대 조송(曺松)이란 사람의 '기해세'(己亥歲)란 제목의 시가 있다.  황소(黃巢)의 난리가 있었던 때를 두고 읊은 것이다.

 

  물 나라 강산이 왼통 쌈판 됐구나
  씨알이 뭣으로 나무 베고 풀 베느냐.
  그대게 이르노니 제후 된단 말 마라.
  한 장수 공 이루려고 일만 뼈다귀 말랐단다.
  (택국강산입전도
  (상민가계악
  
장군 하나가 별을 달고 대장 소장 되려면 수많은 이름 모를 졸병이 죽어 그 뼈다귀가 장사도 못 지내고 흩어져 말라야 한다.  그러니 뭐 좋다고 축하하겠나 하는 말이다.
그러기 때문에 '전승이상례처지'(戰勝以喪禮處之)라, 전쟁해서 이기면 기쁘다고 축하하는 것이 아니라 사람 죽었을 때의 상례로 지낸다는 것이다.
6.25 때에 그렇게 많은 형제, 부자끼리의 살인이 있었는데,  거기 한 사람이라고 주는 훈장을 사양하고 동포의 죽음을 슬퍼해서 상례로 지낸 장교가 있었던가?
베트남 전쟁에 가서 그 수다한 베트남 사람을 죽이고 왔으니 미안해하는 군인이 하나라도 있었던가?
양양왕 모양으로 우리도 천하는 어디 가서 평정이 되느냐고 물어야 하는데 거기 과연 사람 죽이기 즐겨 아니하는 사람이 하나나 있나?
노자가 2500년 전에 사람들을 위해 이러한 평화 사상을 가르쳤던 것은 참 놀라운 일이다.
데모하는 학생을 짐승보다도 더 잔혹하게 학대하는 군인들을 마음이 어째서 그럴까? 정상적인 인간의 일이라고 할 수 없다.  그들에게 어떻게 하면 전쟁에 이기고도 부끄럽고 슬퍼서 상주(喪主)의 심정으로 지내는 그 마음을 가지게 할 수 있을까? 앞으로 오는 통일이라는 큰 사건을 우리는 어떻게 치를 수 있을까?

 

 사단법인 함석헌 기념사업회 ssialsori.net 

 

'종교사상 이야기 > 함석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자47  (0) 2006.12.19
노자36  (0) 2006.12.19
노자17  (0) 2006.12.19
노자15  (0) 2006.12.19
노자14  (0) 2006.1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