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상 이야기/세계143

러시아의 빅픽처, 결국 한곳을 향하고 있다 /오마이뉴스20220406 22.04.06 13:29 http://www.ohmynews.com/NWS_Web/Series/series_premium_pg.aspx?CNTN_CD=A0002823834&PAGE_CD=ET001&BLCK_NO=1&CMPT_CD=T0016 러시아의 빅픽처, 결국 한곳을 향하고 있다 [임상훈의 글로벌리포트] 러시아 주변에서 반복되는 역사 - 임상훈(anarsh) - 1991년 8월 고르바초프 소련 대통령의 개혁-개방 정책에 반발하는 구세력이 반동 쿠데타를 일으켰으나 민중 저항에 부딪쳐 실패로 끝났다. 고르바초프는 복귀했지만 힘의 균형은 반 쿠데타 민중 저항을 이끈 옐친 러시아 대통령으로 급격히 쏠리게 된다. 사실상 최고 실권을 쥔 옐친 대통령은 같은 해 12월 우크라이나의 크라우추크 대통령, 벨라루스의 .. 2022. 4. 6.
이코노미스트가 실은 “우크라이나 전쟁의 원인은 서방에 있다”(민중의소리20220315) https://vop.co.kr/A00001609983.html 2022-03-15 11:56:56 대표적 보수매체 이코노미스트가 실은 “우크라이나 전쟁의 원인은 서방에 있다” 정혜연 기자 haeyeonchung5@gmail.com 편집자주 대부분의 서방 언론이 푸틴의 '광기' 혹은 팽창 야욕을 우크라이나 전쟁의 원인으로 꼽고 있는 가운데 대표적인 보수 경제지인 이코노미스트가 전쟁의 원인을 서방에서 찾는 글을 실어 화제다. 현실주의 국제정치학의 대표적인 학자인 존 마이샤이머 시카고대학 교수의 이코노미스트 특별 기고문을 소개한다. 원문: John Mearsheimer on why the West is principally responsible for the Ukrainian crisis 2008년 NATO.. 2022. 3. 16.
군부가 장악한 '유사 민주주의' 태국의 앞날 /프레시안20171011 <프레시안> 2017.10.11 02:08:49 http://www.pressian.com/news/article.html?no=171777 군부가 장악한 '유사 민주주의' 태국의 앞날 [아시아 생각]군사정권과 새 국왕과의 공생모델 구축중 김홍구 부산외국어대 교수 태국에서 2014년 5월 쿠데타가 발생한 지 3년이 넘었다. 하지만 차기 총선일자마저 확정되.. 2017. 10. 12.
부메랑이 된 룰라의 사법 개혁 /시사인 522호 <시사인> 2017년 09월 21일 목요일 제522호 http://www.sisain.co.kr/?mod=news&act=articleView&idxno=30116 부메랑이 된 룰라의 사법 개혁 룰라는 재임 시절 연방경찰의 규모와 인력을 두 배로 늘리고 사법부도 통합해 독립성을 강화했다. 퇴임 후 그들은 룰라를 공격했다. ‘룰라의 명암’ 마지막 연재다.. 2017. 9.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