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5365 생명의 문화를 위하여 /김종철(녹색평론 창간호) 《녹색평론》창간호 (1991년 11-12월호) 창간사 / 생명의 문화를 위하여 - 김종철 - 우리에게 희망이 있는가? 지금부터 이십 년이나 삼십 년쯤 후에 이 세상에 살아남아 있기를 바라는 사람이 과연 몇이나 될 것인가? 범람하는 인쇄물 공해의 시대에 또 하나의 공해를 추가하는 것에 불과할지.. 2006. 12. 11. 농지법 개정에 대한 평가와 전망(우석훈, 녹색평론 80호) 《녹색평론》제80호 2005년 1-2월호 경자유전의 원칙, 생명의 원칙 농지법 개정에 대한 평가와 전망 우석훈 ‘경자유전’은 헌법상의 권리이며 사회적 약속이다 왜정 시대에는 인구의 4%였던 지주들이 우리나라 농업을 지배하고 있었으며, 소작농 비율은 무려 65%에 달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해방을 맞은 .. 2006. 12. 11. 어둠의 시대, 생명농업의 희망을 쏘아올리자(우석훈, 060210) 2006-02-10 03:26:55 우석훈 어둠의 시대, 생명 농업의 희망을 쏘아올리자 숫자로 우리나라 농업을 간추리면 GDP의 4%, 농업인구는 전체의 8%, 그리고 농지는 국토의 70%를 약간 넘는다. OCED 국가 중 선두권 나라의 경우 GDP의 2~3% 정도가 농업에서 생산되고 있다. 이 숫자를 기계적으로 해석하면 국민소득이 높아.. 2006. 12. 11. [좌담] 농업을 살리기 위한 사회적 연대가 필요하다 /녹색평론 2006년 3~4월 『녹색평론』 2006년 3~4월 [좌담] 농업을 살리기 위한 사회적 연대가 필요하다 이 좌담은 지난 2006년 2월 15일《녹색평론》편집실에서 열렸으며, 참석자들은 아래와 같다. 천규석―대구한살림 이사.《쌀과 민주주의》저자. 천호준―전국농민회총연맹 경북도연맹 의장. 서수녀―전교조 대.. 2006. 12. 11. 이전 1 ··· 1325 1326 1327 1328 1329 1330 1331 ··· 134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