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2007/09/12 17:40:04
http://news.hankooki.com/lpage/culture/200709/h2007091217400286330.htm
[우리 시대의 명저 50] <36>이기백의 '한국사신론' ‘지배세력의 변천과정’으로 독창적 시대구분 식민사관으로 일그러진 한국사 곧추세우다 호족·문벌귀족·신흥사대부·사림 시대 등 16단계로 한국사 발전과정 체계화 항일·신민족주의·유물사관 비판적 수용 | |||||||||||||||||||
‘식민사관을 좌초시킨 우리 사학의 등대’.
1967년에 출간된 이기백(李基白)의 <국사신론>(1976년 <한국사신론>으로 개정)은 출간과 동시에 당시 국사학계에 커다란 충격을 던졌다.
이 책은 일제 어용학자들에 의해 반도성(半島性), 사대성(事大性), 정체성(停滯性) 등으로 폄하돼 온 일그러진 한국사를 새롭게 조명하는 전기를 마련했기 때문이다.
저자는 초판본 서문에서 “식민사관은 한국민족이 선천적 혹은 숙명적으로 당파적 민족성을 지니고 있으며 이것이 민족적 단결을 파괴해 독립을 이룰 수 없다. 그러나 근본적으로 말한다면 민족성이 역사적 산물이지 역사가 민족성의 산물은 아니다”라며 식민사관을 통렬히 비판했다.
고려대 민현구 교수는 “1960년대 들어 한국사학에 중요한 방향 전환이 이루어졌다. 그것은 지난날 일제 어용학자들의 그릇된 식민주의적 한국사관을 철저하게 비판하고, 동시에 한국사를 주체적으로 인식하고 발전적으로 파악하는 것이었다. 이 같은 새로운 방향 제시는 해방 직후에 진출한 신세대 학자들이 주도했으며 그 결과로 얻어진 가장 값진 성과가 바로 <한국사신론>의 탄생이었다”고 평가한다.
1947년 출간된 이병도의 <국사대관>이 한국전쟁 이후 한국사학계에서 바이블 격의 지위를 누리고 있던 상황에서 나온 <한국사신론>은, <국사대관>이 넘지 못한 벽을 일거에 허무는 계기를 마련했다.
뿐만 아니라 이 책은 식민지사학을 극복하는 데 머물지 않고 국사 연구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했다. 그 구체적인 작업은 시대구분을 통해 잘 드러난다.
이기백은 왕조 중심의 시대구분은 물론 고대 중세 근대라는 서구식 3분법으로는 한국사를 올바르게 이해할 수 없다고 생각했다. 그가 한국사의 시대구분의 기준으로 삼은 것은 지배세력의 변천과정이었다. 지배세력은 일정한 시기에 정치ㆍ사회 영역에서 주도권을 쥐고 역사를 움직여 나간 역동적인 인간집단을 말하며, 민중의 이익을 착취하는 지배계급이나 부르주아와는 구분되는 개념이라는 게 이기백의 설명이다.
그는 이에 따라 한국사의 발전과정을 ▦원시공동체 사회 ▦전제왕권의 성립 ▦호족의 시대 ▦문벌귀족의 사회 ▦신흥사대부의 등장 ▦사림세력의 등장 등 16단계로 체계화했다.
지배세력이 씨족국가에서 부족국가, 삼국시대, 고려시대, 조선시대, 현대를 거치면서 소수 집단에서 벗어나 점차 사회의 중추 기반이 되었다는 것이다. 이는 한국사의 발전과정에 대한 새로운 해석이자 독창적 발견이었다. 지배세력의 변천과정은 <한국사신론> 초판에서는 18단계, 1976년 개정판부터는 16단계로 정리했다.
이기백은 이런 사관에 따라 지배세력의 몰락과 쇠퇴과정보다는 새롭게 등장하는 세력에 초점을 두는 방식으로 한국사의 주체적ㆍ역동적 흐름을 읽어냈다.
그는 자신이 이같은 역사적 시각을 갖게 된 것에 대해 “농민운동가였던 선친(이찬갑 선생)의 영향이 컸다”고 말했다. 어려서부터 일제 하에서 역사와 언어마저 잃어버려서는 안 된다는 선친의 당부를 들어온 그는 오산학교에 진학, 교사로 있던 함석헌의 <성서의 입장에서 본 한국역사>와 신채호의 <조선사 연구초>를 읽으면서 뚜렷한 역사관을 갖게 됐다.
일본 와세다대에 재학 중이던 1945년 징병으로 전쟁터에 끌려갔다 곧바로 소련군 포로가 된 이기백은 한국인 포로수용소에서 동료들의 권유로 한국사를 강의하며, 신채호과 함석헌 등의 역사관을 토대로 개설서를 썼다. 이 필사본 개설서를 시작으로 그의 오랜 한국사 탐험이 시작된 것이다.
이기백은 서울대 문리대 사학과를 1회로 졸업한 뒤 이화여대 교수로 재직 중이던 1961년 봄 교재용으로 <국사신론>을 펴낸다. 이 책이 바로 6년 뒤에 발간된 <한국사신론>의 모체다. <한국사신론>은 이후 개작을 거듭해 1976년에 개정판, 1990년에 신수판, 그리고 1992년 1월에 신수중판을 펴내면서 현재까지 35만부 이상 팔린 스테디셀러다.
이 책은 또 1970년 일본어로 처음 번역된 이래 영어 중국어 스페인어 말레이시아어 러시아어 등 6개 국어로 번역 출간돼 외국인들에게 한국사를 이해하는 필독서로 사랑을 받고 있다.
이기백은 생전에 자신의 역사관을 ‘인간 중심 사관’이라 표현하고 “역사발전은 보다 많은 사람들에게 균등한 행복을 주는 데 있다”고 강조했다. 그의 <한국사신론>은 이런 사관에 바탕해 신채호의 항일사관, 함석헌의 기독교사관, 손진태ㆍ이인영의 신민족주의사관, 그리고 유물사관의 영향을 비판적으로 수용ㆍ극복하고, 세계사의 보편적 흐름과 함께 하는 새로운 한국사의 방향을 제시한 것이었다.
| |||||||||||||||||||
입력시간 : 2007/09/12 17:40:04
|
'세상 이야기 >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발적’ 역사평론가 이덕일 (위클리경향 832호) (0) | 2009.07.03 |
---|---|
민주화 세력과 사림, 역사의 닮은꼴(한겨레신문090605) (0) | 2009.06.06 |
[우리 시대의 명저 50]김용섭의 '조선후기 농업사 연구'(한국일보071220) (0) | 2008.06.09 |
단군신화, 그리고 북방이야기 (뉴스메이커 747호) (0) | 2007.10.28 |
항일군3인 왜 일왕에 충성맹세 했나 (오마이뉴스 070913) (0) | 2007.09.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