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마리선녀 이야기/마리선녀 철학

[스크랩]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Ludwig Wittgenstein

by 마리산인1324 2010. 10. 5.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Ludwig Wittgenstein)

 
비트겐슈타인의 묘비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Ludwig Wittgenstein, 1889년 4월 26일 ~ 1951년 4월 29일)은 20세기 언어철학, 분석철학의 발판을 놓은 철학자이다.

목차

생애

비트겐슈타인은 1889년 4월 29일 20시 30분, 합스부르크 오스트리아에서 카를 비트겐슈타인과 레오폴디네 카를무스 사이에서 5남 3녀의 막내로 태어났다. 부계는 개신교로 개종한, 어머니는 가톨릭으로 개종한 유대인이었으며(외할머니는 유대인이 아니었다), 8명의 자녀는 어머니의 주장에 따라 가톨릭 세례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세례명은 루드비히 요제프 요한(Ludwig Josef Johann).

아버지 카를은 오스트리아의 철강 산업을 육성하는 데 이바지하였으며, 당시 오스트리아의 대부호로서 손꼽혔다. 카를은 경제계에서 은퇴한 후 예술 애호가로 잘 알려져 당시 빈의 유명한 음악가, 미술가, 문학 작가들이 비트겐슈타인가의 저택을 자주 드나든 것으로 알려졌으며, 거의 모든 자녀들은 이에 적지 않은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어머니 레오폴디네는 피아니스트였으며, 음악 후원자였다.

비트겐슈타인은 13세가 될 때까지 가정교사를 통해 교육을 받은 후, 1903년린츠에 있는 린츠 국립실업고등학교에 입학한다. 학생 기록부에 따르면 1904년아돌프 히틀러가 같은 학교에 입학한 것으로 되어 있다. 비트겐슈타인은 졸업할 때까지 학교 성적이 늘 중간에서 맴돌았음이 현재 남아 있는 그의 성적기록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 시기에 쇼펜하우어의 《의지와 표상으로서의 세계》, 바이닝거의 《성과 성격》, 헤르츠의 《역학 원론》 등을 읽었다고 한다. 이 즈음은 비트겐슈타인의 가족관계에서 불운한 일이 겹친 시기이기도 한데, 1902년, 가출했던 큰 형 한스가 미국 체사피크 만에서 실종되었고, 1904년에는 베를린에서 셋째 형 루돌프가 청산염을 마셔 자살했다. 한스(음악)와 루돌프(연극)는 둘 다 예술에 재능과 관심을 가졌었고, 이와 관련하여 아버지와 갈등이 있었던 것으로 알려져있다.

1906년 린츠 국립실업고등학교를 졸업한 후 가문의 전통에 따라 기술(기계공학) 분야에서 활동할 계획으로 현 베를린 공과대학의 전신인 베를린 샬로텐부르그 기술전문대학에 입학한다. 비트겐슈타인은 이 시절부터 철학 노트를 쓰기 시작한다.

1908년 5월 5일 졸업을 하며 공학공부를 계속하기 위해 곧바로 영국으로 건너가 맨체스터 공과대학에 입학한다. 이 시기 비트겐슈타인은 러셀, 《수학의 원리들》과 프레게, 《산수의 근본 법칙》을 읽는다. 여기서 비트겐슈타인은 가을부터 기계공학과 연구생으로 비행기 엔진과 프로펠러에 대해 연구하는데, 이 결과로서 1911년에는 특허를 취득하기도 한다. 흥미로운 것은, 후에 헬리콥터 개발에 쓰인 엔진 방식이 이 연구에 제시되고 있다는 점이다.

1911년까지 공학도로서 강의를 듣던 중에 강사 리틀우드에게서 러셀이 최근에 출판한 《수학의 원리》에 대해서 소개를 받는다. 여기서 처음으로 비트겐슈타인은 철학에 깊은 관심을 갖게 되며 이는 비트겐슈타인이 1911년 케임브리지 대학으로 가 러셀 밑에서 철학 공부를 하게 하는 결정적인 동기가 되며 여기서 또한 20세기 분석철학의 중요한 선구자 가운데 하나인 조지 에드워드 무어를 알게 된다.

1914년 제1차 세계대전 중에 징집되어 군 복무를 하던 중, 1918년 이탈리아에서 포로생활을 하게 된다. 전쟁 후 고향 으로 돌아와 초등학교 교사가 되기 위한 과정을 밟은 후 1920년에서 1926년까지 오스트리아의 작은 마을에서 초등학교 선생으로 활동한다. 1926년 다시 빈으로 돌아와 후에 빈 학파의 사람들과 교류한다.

철학

 논리 철학 논고

이 부분의 본문은 논리 철학 논고입니다.

비트겐슈타인은 1918년에 쓴 그의 저서 《논리-철학 논고》에서 그림 이론(picture theory)을 제시한다. 그림 이론을 구상하게된 까닭은 프랑스에서 일어난 교통사고를 재판하는 기사에서 재판에 모형들이 사용된 것을 본 것 때문이었다. 그림 이론이란 언어는 세계를, 명제는 사실을, 이름은 대상을 지칭한다는 것으로, 이러한 것들이 실제 대응 관계에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그림 이론은 기존의 철학, 특히 형이상학이나 도덕학에서 신이나 자아, 도덕과 같은 것들은 실제 그것이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없어서 뜻(Sinn)이 없다고 본다. 따라서 이러한 개념에 대해 논의하는 것은 무의미하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자연과학과 같은 것은 실제 세계를 설명하는 것이기 때문에 그 의미가 있다고 본다. 이러한 점에서 비트겐슈타인은 《논리 철학 논고》를 "7 말할 수 없는 것에 관해서는 침묵해야 한다.[1]" 라고 끝맺었다. 논리 실증주의자들은 이 명제를 중요하게 생각했다.

하지만, 비트겐슈타인은 편집자에게 보내는 편지에서 오히려 말할 수 없는 것을 더 중요하게 생각한다고 고백했다. 말할 수 없는 것이 증명할 수 없어서 무의미한 것이 아니라, 구태여 증명하려 하여 무가치하게 만들지 말라는 것이었다[2].

 철학 탐구

이 부분의 본문은 철학 탐구입니다.

《철학 탐구》에 이르러 비트겐슈타인은 자신의 철학을 상당부분 수정하게 된다. 초기의 그림 이론과는 달리 일상언어를 중요하게 여긴 것이다. 비트겐슈타인은 자신의 그림 이론을 포함한 기존에 있었던 사물과 언어가 일치한다는 주장을 반대하였다. 비트겐슈타인에 따르면, 언어가 있기 전에 생활 양식이 있다. 또한, 언어는 그 '뜻'이 아니라 '사용'에 본질이 있으며, 같은 언어를 사용한다는 것은 삶의 형식을 공유한다고 생각했다. 그리고 비트겐슈타인은 언어에는 하나의 공통된 본질이 있는 것이 아니라 그 쓰임에서 나타나는 여러 유사성이 있다고 생각했는데, 그는 이것을 '가족 유사성' (가족끼리 서로 비슷한 것처럼)이라고 불렀다. 비트겐슈타인은 언어를 놀이에 비유했는데, 줄넘기 놀이, 술래잡기, 가위바위보 등의 '놀이'에서도 어떤 본질이 있는 것이 아니라 마치 가족처럼 서로 유사한 점이 있다는 뜻이다.

비트겐슈타인은 논리 실증주의자들이 명료하고 논리적인 이상언어를 추구한 것과는 달리 이상언어를 비판했다. 이러한 철학은 옥스퍼드학파라고도 불리는 일상언어학파가 잇게 된다.

저서

  • 《논리 철학 논고》, Tractatus Logico-Philosophicus
  • 《철학 탐구》, Philosophische Untersuchungen

[편집] 각주

  1. 루드비히 비트겐슈타인 (2006년 5월 1일). 《논리-철학 논고》. 책세상. ISBN 978-89-7013-557-1 04100
  2. 안광복 (2005년 12월 15일). 《철학, 역사를 만나다》. 웅진지식하우스. ISBN 89-01-05423-X

[편집] 바깥 고리

 
출처 : 에피큐리안
글쓴이 : 벨로체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