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에야(然後)
- 진계유(陳繼儒)의 安得長者言(안득장자언) 중에서 -
靜坐然後知 平日之氣浮(정좌연후지 평일지기부)
고요히 앉아 본 뒤에야 평소의 마음이 경박했음을 알았네.
守默然後知 平日之言燥(수묵연후지 평일지언조)
침묵을 지킨 뒤에야 일상의 언어가 소란스러웠음을 알았네.
省事然後知 平日之費閒(성사연후지 평일지비한)
일을 돌아본 뒤에야 시간을 한가하게 썼음을 알았네.
閉戶然後知 平日之交濫(폐호연후지 평일지교람)
문을 닫은 후에야 지난 사귐이 지나쳤음을 알았네.
寡慾然後知 平日之病多(과욕연후지 평일지병다)
욕심을 줄인 뒤에야 이전의 잘못이 많았음을 알았네.
近情然後知 平日之念刻(근정연후지 평일지염각)
마음을 쏟은 뒤에야 평소에 마음씀이 각박했음을 알았네.
陳繼儒(진계유:1558~1639) / Chen Jiru
明代의 문학가이자 서화가이다. 字는仲醇(중순), 號는 眉公(미공)과 麋公(미공)을 썼다. 江蘇省 華亭縣(지금의 上海市 松江區) 사람이다.
어려서부터 명석하고 시문과 서화에 모두 능하여 유생이었을 때 지역의 명사들이 모두 그와 교유하기를 원하였다.
29세 때 출사의 뜻을 접은 뒤 유생의 옷을 태우고 小昆山(소곤산)으로 들어가 은거를 시작하였으며, 나중에는 東佘山(동사산)으로 옮겨 저술에만 몰두하였다.
조정에서 몇차례 불렀으나 모두 사양하며 나아가지 않았다.
南北宗論(남북종론)을 견지했으며, 화가의 수행을 중시하고, 서화의 근원이 동일하다는 의견에 찬동하였다.
<梅花冊(매화책)>, <雲山卷(운산권)> 등을 세상에 남겼고, <妮古錄(이고록)>, <陳眉公全集(진미공전집)>, <小窗幽記(소창유기)> 등의 저작을 남겼다.
'삶의 이야기 > 시·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남명 조식선생시 모음 (한시 시조) (0) | 2013.10.23 |
---|---|
Nancy Wood-Today is a very good day to die. 오늘은 죽기 좋은 날... (0) | 2013.10.16 |
[시] 누가 그랬다, 삶도 사랑도 물들어가는 것 /이석희 (0) | 2013.07.09 |
[시] 나무처럼 /오세영 (0) | 2013.03.02 |
[스크랩] 첫차 - 나태주 (0) | 2013.03.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