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자유주의 정부에 의한 감독과 규제를 없애고 무역과 자본이동을 자유화하면서 공기업의 민영화 등을 광범위하게 추진하며, 또 개인의 행위의 결과는 개인이 책임지게 하면 개인들의 자유롭고 창조적인 행위로 경제사회가 발전해 간다는 사상을 말한다. 하이예크(Hayek) 이후의 자유주의 사상을 신자유주의라고도 하고, 통화론자인 밀턴 프리드만(Milton Freedman) 이후의 자유주의적인 경제사상을 신자유주의라고 하지만, 근래에 등장하는 신자유주의는 최근 1980년대 이후 영국과 미국의 경제체제를 주로 지칭한다. 즉, 영국의 대처수상 이후, 미국의 레이건 정부 이후의 경제정책기조를의미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우리 나라의 경우「국민의 정부」 출범 이후 역점시책으로 추진중인 규제개혁, 작은 정부의 실현, 노동시장의 유연성 확보, 외국자본 및 문화 개방 등 일련의 시책 등이 신자유주의에기본바탕을 두고 있다고 할 수 있다. ** 시카고 학파 Chicago School 신자유주의 학파라고도 한다. 미국 시카고 대학의 프리드먼 교수를 중심으로 하는 경제학파. 이 학파의 주장은 합리적인 경제운영을 기하고물가상승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자유스러운 가격기능을 부활시키지 않으면 안된다는 것으로 정부활동보다는 민간의 자유로운 행동을 중시한다.케인스 경제학을 따르는 뉴 이코노믹스와 대립되는 것으로 생산, 고용,가격 등의 수준을 결정하는 요인으로서 통화공급량을 중시한다.
자료제공 :
----------
----------
'세상 이야기 > 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쿠데타둥이의 일생이란(유재현, 한겨레신문 061221) (0) | 2007.01.10 |
---|---|
신자유주의 시대의 ‘일그러진 영웅’(박노자, 한겨레신문 061227) (0) | 2007.01.10 |
노무현 대통령을 위한 ‘변명’(충북인뉴스 070102) (0) | 2007.01.04 |
한겨레가 뽑은 올해의 책-번역서2(061228) (0) | 2006.12.29 |
한겨레가 뽑은 올해의 책-번역서1(061228) (0) | 2006.12.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