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종교사상 이야기/종교245

무위당 선생의 취지서(趣旨書) 무위당 선생을 기리는 사람들의 모임 http://www.jangilsoon.co.kr/pds/view.php?forum=book1&st=&sk=&page=0&num=55 ※ 여기에 싣는 글은 1956년 무위당 장일순 선생께서 대성중고등학교의 초대 이사장으로 재직시, 열악한 학교 재정의 돌파구를 마련해 보고자 지역의 유지들과 장학 사업에 뜻이 있는 분들에게 .. 2006. 12. 15.
기억간의 전쟁(허우성) 기억간의 전쟁-내셔널리즘의 충돌 - 허 우성 - 1. 인간은 이기적 행위자이면서 아견(我見)의 소지자다―불교적 인간관 무궁화와 국화(菊花)가 무궁하지 않듯이 국가와 민족 역시 영원|절대의 존재가 아니다.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것―인간이 이름 지어 부르는 일체―은 인연에 따라 생기고 없어지기 .. 2006. 12. 14.
법정이 철학자에게 던지는 화두(허우성) 「불교평론」 제2호(2000년 봄) http://www.budreview.com/article.asp?cnt_id=3178 법정이 철학자에게 던지는 화두 - 허 우 성 - - 목 차 - 들어가는 말 불교의 사명:본래적인 자아의 회복 생명 공동체:인간, 자연, 우주 감성의 회복:머리보다는 가슴과 손발 수행론:선(명상), 관법 현대도시문명 비판과 종교의 사명.. 2006. 12. 14.
[좌담]불교학이 가야 할 길(현대불교 2001년 5월 1일) 현대불교 317호(2001년 5월 1일) http://www.buddhapia.co.kr/mem/hyundae/auto/newspaper/317/special/k-2.htm 【특별좌담】 불교학이 가야할 길 “‘지구촌 불교’로 거듭나도록 학문적 지원” 불교학의 발전은 현재와의 끊임없는 대화 속에서 불교의 역할을 바로 볼 때 가능하다. 불교학의 연구 대상은 불교이지만 구체적인.. 2006. 12.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