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감벤14 인권을 넘어 /지오르지오 아감벤(자율평론20050707) <자율평론> (2005-07-07) http://jayul.net/view_article.php?a_no=779&p_no=1 인권을 넘어 지오르지오 아감벤/ 역자 : 양창렬 · 김상운 * 글쓴이 : 지오르지오 아감벤(Giorgio Agamben) * 옮긴이 : 양창렬(nomade02@hotmail.com) / 김상운(sanggels@freechal.com) * 출 처 : 이 글은 Means without end에 수록된 “Beyond Human Rights”.. 2010. 10. 24. 예외상태 /지오르지오 아감벤(자율평론13호 20050707) <자율평론> 13호(2005-07-07) http://jayul.net/view_article.php?a_no=767&p_no=1 예외상태 지오르지오 아감벤/ 역자 : 홍철기 아감벤의 파리 7대학(드니 디드로) 롤랑 바르트 센터에서의 강연을 요약/발췌한 것이다. 저자는 베로나 대학의 철학교수로 재직 중이다. 원문은 www.generation-online.org/p/fpagambensch.. 2010. 10. 24. 21세기의 전지구적 주권과 민주주의: 아감벤의 『호모 사케르』 /홍철기(자율평론18호) <자율평론> 18호(2006-10-13) http://jayul.net/view_article.php?a_no=1032&p_no=1 21세기의 전지구적 주권과 민주주의: 아감벤의 『호모 사케르』 홍철기 (서울대학교 정치학과 박사과정) 네그리(Antonio Negri)와 하트(Michael Hardt)의 『제국(Empire)』은 주권이 더 이상 개별 국민국가들에 머물러 있지 않고 .. 2010. 10. 23. 아감벤의 잠재성 개념과 그것의 정치적 함의 /양창렬 <자율평론> 19호(2007.1.5) http://jayul.net/view_article.php?a_no=1060&p_no=1&key=p_no 아감벤의 잠재성 개념과 그것의 정치적 함의 양 창 렬 (파리 1대학, 철학과 박사과정) 이 글은 <진리, 자유> 2006년 여름호 (61호) pp.59-67 에도 실렸다. ■편집자주 아감벤의 잠재성론은 ‘할 수 있다는 동사의 의미, 다시 말해 .. 2010. 10. 12. 이전 1 2 3 4 다음